20년 전까지만 해도 증권사 객장은 주식 거래의 중심과 같은 곳이었습니다. 이후 1997년 외환위기 당시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 등장하면서 투자자들이 객장에서 집 앞 컴퓨터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2000년대 말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자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이 탄생한 뒤엔 손 안의 주식 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

2014년 소셜트레이딩서비스(STS) 시대가 열렸습니다. 투자자들은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메신저하듯 투자자들과 정보를 얻고 투자 수익률 등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된 것입니다. 증권업계와 IT업계는 STS가 향후 증시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경닷컴은 총 4회에 걸쳐 STS의 현황을 진단하고, STS 선봉장에 서 있는 인물을 만나 전망을 들어봤습니다.[편집자 주]
[STS가 뜬다④] 주식에 '재미(Fun)'를 더한다면?…스타트업 '스넥'의 발칙한 도전
증권사 애널리스트, 대형 로펌 변리사, 회계사 출신들이 모여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을 만들었다. "우리가 제일 즐거울 수 있는 일을 하자"는 생각에 의기투합했다. 당장 손에 잡히는 수익은 이전 직업에 비하면 턱없이 적지만 금융과 정보기술(IT)이 만나면 새로운 시너지가 탄생할 것이란 기대가 크다.

소셜트레이딩 애플리케이션(앱) '스넥'을 만든 위버플 이야기다. 스넥은 최근 서울 여의도 증권가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는 앱. 증권사 리테일전략팀 사이에서도 "성공 가능성이 보인다"는 호평이 나오고 있다. 위버플의 중심에 있는 김재윤 대표(33)를 최근 여의도 사무실에서 만났다.

현재 세 아이의 '아빠'인 김 대표의 이력은 회사만큼이나 특이하다. 연세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그는 네이버(당시 NHN)에 병역특례로 입사해 게임 개발자로 일했다.

"일본, 미국에서도 잘 나가는 게임을 개발했습니다. 그런데 게임을 잘 하는 사람들이 못 하는 사람을 학대하는 일이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면서 결국 '실패한 게임'이 돼 버렸습니다. 그걸 지켜보면서 느꼈습니다. 개발을 잘 한다고 해서 정말 그것 하나만 잘 하면 안 되는 구나. 내가 모르는 게 많구나."

그래서 바로 회계사에 도전했고 1년 만에 공인회계사 시험(CPA)에 합격했다. 회계사로 3년 정도 근무한 뒤 벤처캐피탈로 자리를 옮겼다. 당시 투자했던 기업이 에스엠, JYP 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