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20% 수익" 사모펀드에 뭉칫돈…非우량채 값 반년새 50% 껑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판' 바뀌는 증권·금융시장 - 돈 몰리는 고위험 상품
비우량 전자단기사채 발행액 첫 30조 돌파
신흥국 주식 각광…해외주식 투자 3배 급증
비우량 전자단기사채 발행액 첫 30조 돌파
신흥국 주식 각광…해외주식 투자 3배 급증
IBK투자증권은 내달 40~50명의 자산가만을 대상으로 한 사모펀드를 내놓는다. 연수익률 20%를 목표로 소수 주식에 투자하는 공격적인 상품이다. 위험분산을 최소화해 원금 손실 위험도 큰 게 특징이다. 유정섭 IBK증권 WM(웰스매니지먼트)사업부문 영업부장(상무)은 “신영자산운용과 함께 지난 1년간 실험적으로 운용해본 결과 연 수익률 19% 이상 고수익 상품에 투자자들의 가입 요청이 증가했다”며 “일반 펀드가 100종 안팎의 주식을 편입해 위험을 낮추지만 이 펀드는 20종 이하만 선별 편입하는 고위험·고수익 상품”이라고 말했다.
저금리 등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진 거액 자산가들은 전체 자산의 5~10% 이내를 고위험 자산에 넣고 있다는 게 일선 프라이빗뱅커(PB)들의 설명이다. ○비우량 회사채 인기
비우량 전자단기사채에도 돈이 몰리고 있다. 만기가 3개월 이하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요자가 많은 편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전단채 발행액은 올 1월엔 20조원을 밑돌았지만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넘어섰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알려지면서 기관투자가뿐만 아니라 개인들의 뭉칫돈도 몰리고 있다.
예컨대 한화건설이 지난 10일 경기 김포 풍무지구 아파트 건설사업을 위해 발행한 전단채는 각 증권사 창구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50억원어치를 배정받은 동부증권은 단 사흘 만에 26억원어치를 판매했다. 연환산 금리가 4.5%(만기 89일)로 높아서다. 정은영 KDB대우증권 PB클래스 갤러리아 부장은 “개인의 전단채 최저 매입액을 1억원으로 설정했지만 고금리 덕에 갈수록 인기”라며 “작년까지만 해도 건설회사 전단채를 쳐다보지도 않던 자산가들이 최근 들어 매수를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박 아니면 쪽박
고위험·고수익을 좇는 추세는 일반 직장인도 예외가 아니다. 소액 투자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선 레버리지형이 대세다. 전체 거래량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레버리지형은 지수가 오르면 상승폭의 두 배 수익을 얻고, 지수가 하락하면 손실도 두 배로 입는 고위험 구조다.
한국투신운용과 KB자산운용이 16일 상장한 ‘킨덱스 일본레버리지’와 ‘K스타 일본레버리지’ ETF는 하루 동안 100만주 넘게 거래됐다. 특히 킨덱스 일본레버리지 ETF 거래량(77만주)은 전체 ETF 160종 가운데 네 번째로 활발한 수치다.
더욱 공격적인 투자자들은 환위험을 신경쓰지 않고 인도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주식을 직접 매입하고 있다. 올 1분기 해외 주식투자 규모는 17억600만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361% 급증했다. 류정아 우리투자증권 강남센터 PB팀장은 “작년 하반기 유럽 주식에 투자했던 사람들이 평균 10%에 가까운 누적 수익을 내자 좀 더 높은 수익을 찾아 신흥국에 관심을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모주 인기가 높아지자 장외에서 비상장 주식을 미리 사들이려는 개인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동양증권이 자사 중개사이트를 통해 장외 종목 매매 금액을 집계해 보니 올 1~2월엔 10억원 안팎에 불과했지만 삼성SDS가 상장 계획을 발표한 지난달 37억원어치가 거래됐다.
문승현 한투증권 상품전략팀 부장은 “장외 종목들이 상장되면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손실 위험에도 불구하고 투자금이 쏠린 것”이라며 “하지만 기대수익이 높을수록 원금 손실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꼭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재길/안상미/황정수/윤정현 기자 road@hankyung.com
저금리 등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진 거액 자산가들은 전체 자산의 5~10% 이내를 고위험 자산에 넣고 있다는 게 일선 프라이빗뱅커(PB)들의 설명이다. ○비우량 회사채 인기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고금리 회사채도 인기다. 기업이 망하지만 않으면 1년짜리 예금 금리보다 서너 배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웅진에너지 3회(신용등급 CCC)의 작년 말 거래가격은 좌당 5750원(액면가 1만원)이었지만 지난 13일엔 8660원에 거래됐다. 반년도 안돼 가격이 50.6% 뛸 정도로 수요가 몰렸다는 의미다. 이 같은 비우량 채권의 경우 큰손들이 포트폴리오(자산배분) 분산 차원에서 접근한다고 PB들은 설명했다.
비우량 전자단기사채에도 돈이 몰리고 있다. 만기가 3개월 이하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요자가 많은 편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전단채 발행액은 올 1월엔 20조원을 밑돌았지만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넘어섰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알려지면서 기관투자가뿐만 아니라 개인들의 뭉칫돈도 몰리고 있다.
예컨대 한화건설이 지난 10일 경기 김포 풍무지구 아파트 건설사업을 위해 발행한 전단채는 각 증권사 창구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50억원어치를 배정받은 동부증권은 단 사흘 만에 26억원어치를 판매했다. 연환산 금리가 4.5%(만기 89일)로 높아서다. 정은영 KDB대우증권 PB클래스 갤러리아 부장은 “개인의 전단채 최저 매입액을 1억원으로 설정했지만 고금리 덕에 갈수록 인기”라며 “작년까지만 해도 건설회사 전단채를 쳐다보지도 않던 자산가들이 최근 들어 매수를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위험·고수익을 좇는 추세는 일반 직장인도 예외가 아니다. 소액 투자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선 레버리지형이 대세다. 전체 거래량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레버리지형은 지수가 오르면 상승폭의 두 배 수익을 얻고, 지수가 하락하면 손실도 두 배로 입는 고위험 구조다.
한국투신운용과 KB자산운용이 16일 상장한 ‘킨덱스 일본레버리지’와 ‘K스타 일본레버리지’ ETF는 하루 동안 100만주 넘게 거래됐다. 특히 킨덱스 일본레버리지 ETF 거래량(77만주)은 전체 ETF 160종 가운데 네 번째로 활발한 수치다.
공모주 인기가 높아지자 장외에서 비상장 주식을 미리 사들이려는 개인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동양증권이 자사 중개사이트를 통해 장외 종목 매매 금액을 집계해 보니 올 1~2월엔 10억원 안팎에 불과했지만 삼성SDS가 상장 계획을 발표한 지난달 37억원어치가 거래됐다.
문승현 한투증권 상품전략팀 부장은 “장외 종목들이 상장되면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손실 위험에도 불구하고 투자금이 쏠린 것”이라며 “하지만 기대수익이 높을수록 원금 손실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꼭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재길/안상미/황정수/윤정현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