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정원을 줄이기로 한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국어대 등이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인 ‘대학 특성화 사업(CK)’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반면 입학정원을 동결한 연세대 고려대 포스텍 한국교원대 등은 탈락했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108개 대학은 2017학년도 입학정원을 1만9085명 줄이기로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30일 이 같은 내용의 대학 특성화 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방 대학은 80곳 265개 사업단이, 수도권 대학은 28곳 77개 사업단이 최종 선정됐다.
○정원 감축과 연계
대학 특성화 사업은 올해 지방대(CK-Ⅰ)에 2031억원, 수도권대(CK-Ⅱ)에 546억원 등 5년간 1조2000억원 이상을 투입하는 사업이다. 정원 감축과 연계해 입학정원을 4% 줄이면 3점(100점 만점 기준), 7% 4점, 10% 5점을 각각 가산점으로 부여함에 따라 대학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신청 당시 정원을 줄이지 않겠다고 한 대학들이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9개 사업단을 신청한 고려대는 모두 탈락했고 국제화 분야 1개 사업단을 신청한 연세대도 탈락했다.
2개를 낸 포스텍(포항공대)과 4개를 낸 한국교원대도 고배를 마셨다. 다만 서울대가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신(新)실크로드 사업단’ 등 2개 사업단(신청 8개)이 선정됐고 9개씩 낸 이화여대 동국대 건국대 등은 1개씩만 선정됐다.
반면 정원을 줄이겠다고 신청한 전국 152개 대학 가운데 104개 대학이 선정됐다. 김일수 교육부 지역대학육성과장은 “대학들의 경쟁이 치열해 가산점 차이가 지원 대상 선정 여부를 갈랐다”고 설명했다. 숙명여대 숭실대 홍익대 동덕여대 한성대 등은 정원을 감축하겠다고 했지만 탈락했다.
이번에 선정된 지방 대학은 2017년까지 입학정원을 평균 8.7%, 수도권 대학은 3.7% 감축한다.
○지역산업과 연계해 특성화
특성화 사업은 지역 산업과 연계해 대학별로 각각 다른 분야에 특성화하도록 유도하는 사업이다. 동남권은 영상·해양, 충청권은 국방·디스플레이·바이오, 호남제주권은 해양산업·관광, 경상강원권은 정보기술(IT)/소프트웨어(SW)·환경 등에 집중됐다. 선정 사업단을 학문 분야별로 보면 주력학과를 기준으로 인문사회 45%, 공학 23%, 자연과학 21%, 예체능 9%의 비중을 보이는 등 학문 간 균형을 고려했다.
지방 대학의 경우 전체 126개 대학 중 63%가, 수도권 대학은 69개 대학 중 41%가 선정됐다. 지원액 기준으로도 지방 대학이 전체의 78%를 차지하는 등 국정과제인 지방대 육성을 뒷받침했다. 영남대는 8개 사업단이 CK사업에 선정돼 70억원의 국고지원금을 받는다.
교육부는 선정된 최상위 특성화 사업단 중에서 주력학과를 대상으로 ‘특성화 우수학과’(가칭 명품학과)를 권역별로 10~15개씩 고르게 선정해 학과당 1억~2억원씩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 선정되지 않은 지방대에 대해서는 ‘지역선도대학 육성 사업’(100억원)과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267억원) 등 후속조치를 통해 지원 기회를 주기로 했다.
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은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를 채용하면서 후보자 상대로 평판조회를 했다. 주요 프로젝트 기여도, 리더십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했는데 실제 프로젝트 기여도는 낮았고 팀원들과 불화가 있었던 데다 이직 결심한 이후 업무를 소홀히 했던 점까지 드러났다. 팀장급 한 명을 채용하려다 평판조회를 통해 '두 얼굴'이 확인된 사례도 있다. 후보자의 종전 직장 상사들 사이에선 "팔로십이 우수하고 수용성 높은 인재"라는 평판이 나왔지만 함께 근무했던 부하 직원들에겐 '상명하복'을 강요하는 리더였다는 상반된 평가가 나온 것이었다. 수시 채용·경력직 선호에 평판조회 수요↑17일 HR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처럼 채용시 평판조회 수요가 늘면서 관련 서비스가 고도화하는 추세다. 통상 신규 채용이 쪼그라들면 평판조회 수요도 줄어들지만 근래엔 수시 채용·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평판조회가 필수 절차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한경닷컴이 지난해 취업포털 잡코리아에 의뢰해 진행한 평판조회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현직 채용담당자 427명 중 91.3%는 "채용과정에 평판조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할 만큼 필요성을 느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을 계기로 이뤄졌던 '비대면 면접'도 평판조회 수요를 높인 배경이 됐다. 지난 7일 온라인 평판조회 플랫폼 '레퍼첵'을 출시한 넥서스앤컴퍼니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면접이 늘면서 추가적 검증 방법으로 평판조회에 대한 기업들 수요가 증가세였다. 실제 효과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
충남 논산에서 승용차에 충돌한 오토바이 운전자가 근처를 지나던 보행자와 부딪혀 오토바이 운전자와 보행자가 모두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17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전날 낮 12시 24분께 논산 내동 한 삼거리에서 비보호 좌회전하던 승용차와 맞은편에서 직진하던 오토바이가 충돌했다.사고 충격으로 오토바이 운전자 A(48)씨가 튕겨 나가면서 근처에 있던 보행자 2명과 잇따라 부딪혔다. 이 사고로 A씨와 보행자 중 한 명인 B(66)씨가 숨졌고, 다른 보행자 C(70)씨는 크게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경찰은 승용차가 비보호 좌회전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음주운전과 과속 운전 여부 등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배우 김새론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 충격과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가운데, 생전에 악성 루머와 거듭된 논란으로 고통받은 사실이 전해졌다.김새론은 16일 오후 4시 54분쯤 서울 성동구 성수동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행년 25세.김새론은 발견 당시 이미 심정지 상태였고, 그와 만나기로 했던 지인 A씨가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외부 침입 흔적 등 범죄 혐의점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사망 경위 등을 수사 중이다.김새론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후 그의 지인은 한경닷컴에 "생전에 그 일(음주운전 교통사고) 이후 복귀를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며 "여러 번 복귀가 무산됐지만, 최근엔 영화 개봉도 앞두고 있어 앞으로 활동을 두고 어떻게 할 것인지 얘기를 나눴다"고 전했다.그러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긴 했지만, 꾸준히 병원 치료를 받기도 했다"며 "돌봄이 필요한 상태라는 전문의 소견에 더욱 주의를 기울였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김새론은 2000년 7월생으로 2001년 영아 잡지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했다. 이후 2009년 이창동 감독이 제작한 영화 '여행자'를 통해 국내 배우 최연소 칸 영화제 참석자가 돼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이듬해 배우 원빈 주연 영화 '아저씨'를 통해 스타 아역 배우로 등극했다.이후 영화 '도희야'을 통해 2014년 14세의 나이로 청룡영화상 최연소 신인여우상을 품에 안으며 '천재 배우'로 이름을 날렸고, '맨홀', '동네사람들'의 작품에서 성인 배우 못지않은 존재감을 뽐내며 '잘 자란 아역 배우'의 표본으로 꼽혔다. MBC '음악중심' MC, 채널A '도시어부' 등을 통해 예능감을 선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