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라인, 중국서 열흘째 먹통인데…정부는 여전히 '신중모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라인의 중국 내 먹통 문제가 열흘 넘게 지속되면서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카카오톡과 라인은 중국내 먹통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차질을 가져올 것을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카카오톡은 지난 1일 오후부터 중국 전역에서 텍스트 전송, 1:1 보이스톡, 사진 전송 기능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중단됐다.
네이버가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는 라인은 아예 메시지 전송을 비롯한 모든 기능이 먹통이다.
두 업체는 지금까지 네트워크·서버 오류 등 내부 기술적 결함을 발견하지 못한 상태다.
이번 사태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자국 메신저인 '위챗' 등 자국 정보통신 산업 보호를 위해 강제로 서비스를 차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이번 사태를 놓고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을 차단한 전력이 있는 데다 카카오톡과 라인의 먹통 시점을 전후해 야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서비스도 중국에서 접속이 마비됐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고의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신중히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두 메신저를 운영하는 ㈜카카오와 라인주식회사는 당장 중국 당국의 접속 차단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의 대변인 하야시 후미코는 "중국에서의 서비스 불통은 내부 시스템 문제에 의한 것이 아니다"며 외부적 영향에 의한 것임을 시사했다.
카카오톡과 라인은 중국내 먹통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차질을 가져올 것을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도 관할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외교부와 협의 하에 지난주부터 주중대사관을 통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개입했다는 뚜렷한 정황이 나오지 않는 데다 섣불리 나섰다가는 자칫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들 메신저는 앱마켓에서 다운로드받아 이용하는 서비스 형태라 WTO 협약 대상이 아니어서 중국이 강제로 차단했다 하더라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문제가 국제적으로 이슈화되면 오히려 두 업체의 글로벌 비즈니스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정부의 고민이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카카오톡과 라인은 중국내 먹통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차질을 가져올 것을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카카오톡은 지난 1일 오후부터 중국 전역에서 텍스트 전송, 1:1 보이스톡, 사진 전송 기능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중단됐다.
네이버가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는 라인은 아예 메시지 전송을 비롯한 모든 기능이 먹통이다.
두 업체는 지금까지 네트워크·서버 오류 등 내부 기술적 결함을 발견하지 못한 상태다.
이번 사태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자국 메신저인 '위챗' 등 자국 정보통신 산업 보호를 위해 강제로 서비스를 차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이번 사태를 놓고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을 차단한 전력이 있는 데다 카카오톡과 라인의 먹통 시점을 전후해 야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서비스도 중국에서 접속이 마비됐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고의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신중히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두 메신저를 운영하는 ㈜카카오와 라인주식회사는 당장 중국 당국의 접속 차단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의 대변인 하야시 후미코는 "중국에서의 서비스 불통은 내부 시스템 문제에 의한 것이 아니다"며 외부적 영향에 의한 것임을 시사했다.
카카오톡과 라인은 중국내 먹통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차질을 가져올 것을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도 관할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외교부와 협의 하에 지난주부터 주중대사관을 통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개입했다는 뚜렷한 정황이 나오지 않는 데다 섣불리 나섰다가는 자칫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들 메신저는 앱마켓에서 다운로드받아 이용하는 서비스 형태라 WTO 협약 대상이 아니어서 중국이 강제로 차단했다 하더라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문제가 국제적으로 이슈화되면 오히려 두 업체의 글로벌 비즈니스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정부의 고민이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