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어눌해지고 팔다리 마비 오면 의심…뇌졸중 '골든타임'…3시간 이내 병원가야
지난달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WSO)가 정한 ‘뇌졸중의 날’이었다. 10월 말부터 12월까지 ‘뇌졸중 특별주의’ 기간을 홍보하기 위해 제정됐다. 1년 중 이 기간에 뇌졸중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말 어눌해지고 팔다리 마비 오면 의심…뇌졸중 '골든타임'…3시간 이내 병원가야
국내 사망원인 중에서는 뇌졸중이 암에 이어 2위이지만, 암은 위암·췌장암 등 모든 부위의 암들을 총칭하기 때문에 단일 질병으로는 사실상 뇌졸중이 사망률 1위라고 봐야 한다. 뇌졸중은 발병하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거나 십중팔구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발병하지 않도록 미리 대처하는 것이 최선이다. 요즘은 뇌혈관 스텐트 등 의료기술이 발달해 발병 뒤 3시간 안에만 병원에 도착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치료할 수 있다.

◆전조증상 놓치지 말아야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는 본격적인 발병 전에 거의 100% 전조증상이 나타난다. ‘뇌졸중 고위험군’에 속한 사람들은 평소에 전조증상을 숙지하고, 자신에게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에 가야 한다.

뇌졸중 고위험군은 △65세 이상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혈관질환자 △심방세동이 있는 사람 △과거에 일과성 뇌허혈(뇌졸중 증상이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나 뇌졸중이 있었던 사람 등이다. 이들은 뇌졸중 전조증상이 나타나는지 늘 신경써야 한다.

전조증상은 갑자기 신경학적 이상이 발생했다가 몇 시간 만에 사라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 주위의 감각이 변화된다든지, 한쪽 몸의 힘이 빠진다든지,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거나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 심한 어지럼증 등이 뇌졸중의 전조증상이다.

김종성 서울아산병원 뇌졸중센터 소장(신경과 교수)은 “전조증상은 아무렇지 않다가 갑자기 생기고, 보통 몇 분 정도 지속되다가 없어져 소홀히 생각하기 쉽다”며 “증상은 한 가지만 나타날 수 있고 겹쳐서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일부만 나타나도 본격적인 뇌졸중으로 진행될 위험도는 똑같다”고 설명했다.

◆민간요법은 시간만 허비

분당서울대병원이 최근 5년간 이 병원 응급실에 실려온 뇌졸중 환자 3032명을 분석한 결과 발병 3시간 안에 도착한 환자는 29.3%에 불과했다.

백남종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많은 사람이 시각장애, 두통, 어지럼증이 뇌졸중 증상이라는 것을 모른다”며 “평소 뇌졸중 증상을 모르면 손을 따거나 팔다리를 주무르고 우황청심환을 먹는 등 잘못된 민간요법을 하다가 시간을 놓친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뇌졸중 증상이 나타나면 무조건 병원에 일찍 와야 한다”며 “뇌졸중의 80% 이상 차지하는 허혈성 뇌졸중은 뇌졸중 발생 초기에 막힌 혈관에 있는 혈전(피떡)을 녹이는 주사를 3시간 이내, 늦어도 4시간30분 이내에는 맞아야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미한 뇌졸중(일과성 뇌허혈)은 증상이 잠깐만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증상이 사라졌다고 안심하지 말고 나중에라도 병원에 반드시 가야 한다. 편측마비, 언어장애 등이 잠깐 나타나는 일과성 뇌허혈 환자 중 50%는 똑같은 증상이 48시간 내에 다시 나타나는데, 증상이 두 번째 나타날 때는 대부분이 뇌졸중으로 이어진다.

◆흡연자는 증상 없어도 진단해야

뇌졸중은 50세 이상이 걸리는 장년층·노인성 질환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20~40대 젊은 층의 발병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뇌졸중 환자는 53만4417명이었고, 이 중 9.8%(5만8044명)가 50대 이하였다. 이들 대부분이 뇌출혈 위험인자인 고혈압·당뇨·가족력과는 거리가 멀었다.

젊은 층에서 뇌졸중 발생이 증가하는 이유는 생활패턴과 식습관 변화를 들 수 있다. 백 교수는 “육류와 패스트푸드 섭취가 늘면서 비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같은 뇌졸중 발생 요인이 증가하고 음주와 흡연에 노출되는 빈도가 많아지고 있다”며 “극심한 스트레스도 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흡연자는 뇌졸중에 걸릴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2~3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체질량지수가 높으면 혈중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많아져 혈관이 막힐 가능성이 커진다. 1주일에 3~5회 30분씩 땀이 날 정도로 운동을 하고, 과식을 피해 체중을 줄여야 한다. 술도 하루 한두 잔 정도로 줄이거나 아예 끊는 것이 좋다.

백 교수는 “술을 장기간 마시면 혈관이 점점 좁아지고 막히는 동맥경화가 생기기 쉽다”며 “고혈압 환자가 과음을 하면 뇌출혈 위험이 더 높아진다”고 말했다. 혈압은 약 복용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낮춰야 한다. 혈압이 높으면 혈관에 가해지는 자극이 크고, 이로 인해 혈관이 막히거나 터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혈당은 혈관 내 세포의 활동성을 약하게 만들어 혈관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혈당을 낮추기 위한 식습관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백 교수는 “40세 이상 중 체중·혈압·흡연·당뇨병 등 해당 요인이 있는 사람은 증상이 없더라도 몇 년에 한 번씩은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어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도움말=백남종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김종성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