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12월1일 오후 2시10분

우리은행 경영권(지분 30%) 매각 실패에 이어 소수지분(26.97%) 매각마저 ‘절반의 성공’에 그칠 전망이다. 소수지분을 사기 위해 본입찰에 참여한 후보 중 절반가량이 정부의 ‘예정가격(최저입찰기준가격)’을 밑도는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서다.

○입찰물량 절반만 예정가격 충족

[마켓인사이트] 우리銀 소수지분 매각 '절반의 성공' 그칠 듯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마감된 우리은행 소수지분 매각을 위한 본입찰에 참여한 인수 후보 상당수가 예정가격에 미치지 못하는 인수가격을 써냈다.

본입찰 당시엔 1주당 0.5주씩 주식을 더 살 수 있는 ‘콜옵션(8.99%)’을 제외한 매각 대상 물량(17.98%)의 1.3배에 달하는 23.76%의 신청 물량이 몰렸다. 한화생명과 코오롱, 우리은행 우리사주조합, 외국 국부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 사모펀드(PEF)운용사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AEP) 등 10여곳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겉으로 보면 실제 팔려는 물량보다 살려는 쪽이 더 많아 소수지분 매각이 크게 흥행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속사정은 달랐다. 소수지분 인수를 희망하는 후보들의 신청 물량(23.67%) 중 14%가량은 아예 예정가격을 밑돈 것으로 전해졌다. 9% 안팎만이 정부의 예정가격을 충족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당초 매각 대상 물량(17.98%)의 절반은 이번에 팔지 못하게 될 공산이 커졌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우리은행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는 국가계약법상 주식을 예정가격 밑으로 매각할 수 없다”며 “예정가격 밑으로 입찰에 참여한 기관투자가가 많아 ‘절반의 성공’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입찰은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분 0.4~10% 사이에서 입찰자가 원하는 물량과 가격을 써내면 정부의 예정가격 위에서 가장 높은 인수가격을 써낸 입찰자 순으로 지분을 파는 식이다.

○남은 지분 묶어 분산매각할 듯

소수지분 입찰에 참여한 인수 후보들이 정부 기대에 못 미치는 가격을 써낸 것은 저금리·저성장 기조 장기화에 따른 은행산업 자체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경영권 매각이 실패할 것이란 전망도 소수지분 인수에 대한 매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정부의 사전검토 미흡으로 소수지분 입찰에 미국 자본 참여가 원천배제되는 어이없는 결과가 초래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오는 4일 전체회의를 열고 우리은행 소수지분 낙찰자를 선정한다. 매각에 실패한 경영권 지분 30%와 팔고 남은 소수지분 9%를 어떤 방식으로 재매각할지 등도 논의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선 정부가 내년에 경영권 매각을 다시 추진하기보단 지분을 쪼개 파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KB금융이나 신한금융처럼 특정 대주주 없이 지분 10% 미만의 과점주주를 두는 형태가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안대규/장창민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