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아이핀' 해킹 당하고도…사흘간 숨긴 정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해킹 과정 파악도 제대로 못해
브리핑은 실·국장 대신 과장이
유출 원인 놓고도 내부서 혼선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해킹 과정 파악도 제대로 못해
브리핑은 실·국장 대신 과장이
유출 원인 놓고도 내부서 혼선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공공아이핀 시스템 자체가 해킹당한 건 아이핀이 도입된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최근 잇단 개인정보 유출사고 후 정부가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공공아이핀마저 해킹 공격에 무너진 것이다. 그런데도 행자부는 기자설명회나 백브리핑을 열겠다는 계획도 없이 문자 한 통을 보낸 뒤 두 쪽짜리 보도자료만 내놨다.
이번 사고가 발생한 건 지난 2일. 행자부가 언론에 알린 건 그로부터 사흘이 지나서였다. 뒤늦게서야 해킹 사실을 밝힌 이유를 묻는 질문에 행자부 관계자는“사고 처리 및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해 언론에 공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사고 발생 후 사흘이 지났음에도 해킹 과정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게 더 심각하다. 지역정보개발원의 실무 연구원이 “이번 해킹은 정황상 사전에 이미 유출된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한 2차 해킹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음에도 행자부 담당과장은 “확인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심지어 행자부 관계자들은 기자들에게 설명 중이던 실무 연구원에게 ‘더 이상 말하지 말라’며 브리핑석에서 끌어내리기도 했다.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