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 2015] 사모펀드 ACP 아난드 프라카시 전무 "아시아 친환경 투자 황금기 온다"
“앞으로 5년 안에 아시아 친환경·신재생에너지 투자의 황금기가 도래할 것입니다.”

기후변화 관련 전문 투자 사모펀드인 ACP(Asia Climate Partners)의 아난드 프라카시 전무는 13일 ASK 2015 연사로 나와 “세계 1, 2위 인구 대국인 중국과 인도의 도시 이주자가 5억명에 달해 하수도나 전력, 공기 정화 등을 위한 관련 투자가 급증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통신 관련 인프라 투자가 경제 성장을 이끈 것처럼 앞으로는 친환경과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성장 흐름을 바꾸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은 만성적인 스모그 등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0년까지 전체 전력 생산량의 15%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계획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건설된 신규 발전소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32%에 달했다.

프라카시 전무는 “지난해 세계 신재생에너지 투자액은 전년보다 16% 증가한 3100억달러에 달했다”며 “2030년에는 전체 에너지 생산의 60%를 신재생에너지가 담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태양열발전소와 풍력발전 분야에만 앞으로 5년 동안 2000억달러(약 220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수익률이 높지 않은 유럽 시장보다는 아시아 시장을 겨냥해야 한다”는 게 그의 조언이다.

환경오염이 심한 지역을 중심으로 세제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늘어나는 점도 주목했다. 그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투자는 각 국가 정책의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며 “발전 차액 지원 제도 등이 시행되면 수익률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폐기물 재활용이나 신선물류(콜드체인) 시스템 등은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ACP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투자사인 오릭스, 로베코가 아시아 전반의 기후변화 관련 투자를 위해 4억달러를 모아 설립한 회사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