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코오롱, 남들 손뗄 때 섬유본업(本業) 파고들어…수익성 日 도레이 추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효성·코오롱 '동반 르네상스'
한물 갔다던 섬유서 돈 벌고
효성, 10배 비싼 스판덱스 세계 1위
코오롱, 철보다 강한 아라미드 개발
비주력사업도 부활
효성 중공업부문 영업益 작년 2배
코오롱 건설사업 턴어라운드 성공
한물 갔다던 섬유서 돈 벌고
효성, 10배 비싼 스판덱스 세계 1위
코오롱, 철보다 강한 아라미드 개발
비주력사업도 부활
효성 중공업부문 영업益 작년 2배
코오롱 건설사업 턴어라운드 성공
효성그룹과 코오롱그룹은 한동안 재계의 주목을 끌지 못했다. 한물간 섬유산업에 미련하게 보일 만큼 집착하고 있어서였다. 다른 기업들이 전자나 정보기술(IT)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때도 두 그룹은 묵묵히 한우물을 팠으니 그럴 만도 했다. 최근엔 아니다. 평가가 완전히 달라졌다. 두 그룹은 약속이나 한 듯 좋은 실적을 내놓고 있다. 전자 자동차 조선 등 한국을 대표하는 산업이 동반 부진에 빠진 상황이라 두 그룹의 실적은 더욱 돋보인다. “본업(섬유사업)에 대한 천착과 성공적인 사업 영역 확장”(박훈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성공 비결로 꼽힌다.
◆장인정신으로 키운 ‘캐시카우’
1980년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 경제에서 섬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했다. 제조업 중 압도적 1위였다. 1983년 제조업에서 섬유·의류업 종사자 수와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4.0%와 17.6%로 가장 높았다. 30년이 지난 2013년에는 이 비율이 각각 5.8%와 3.1%로 뚝 떨어졌다. 한마디로 별 볼 일 없는 산업이 됐다.
효성과 코오롱은 별 볼 일 없는 섬유산업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 (주)효성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에서 섬유(섬유 부문+산업자재 부문)가 차지하는 비중은 64.2%였다. 중공업(17.3%), 화학(6.1%) 등이 뒤를 이었다. 코오롱그룹 내에서는 섬유 화학 주력계열사인 코오롱인더스트리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2006억원과 694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런 실적을 낼 수 있는 것은 본업에 대한 연구개발(R&D)을 멈추지 않은 덕분이다. 효성은 1992년 세계 네 번째로 스판덱스 제품인 ‘크레오라’를 자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세계시장 점유율 1위(작년 기준·약 35%)다. 일반 섬유에 비해 10배 정도 비싼 ㎏당 1만원을 호가하지만, 크레오라를 사려는 거래처가 줄을 이을 정도로 ‘효자’ 상품이 됐다.
코오롱은 철보다 강도가 센 아라미드를 1979년 개발하기 시작해 1995년 완료했다. 2009년부터 이어진 미국 듀폰과의 소송이 지난 5월 합의 종결되면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본업을 기초로 한 성공적 확장
두 그룹은 의류 등에 쓰이는 단순 섬유사업으로 시작해 탄소섬유 등 고부가가치 소재기업으로 변신한 일본 도레이처럼 변신을 꾀하고 있다. 효성은 전 세계 타이어코드(자동차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에 넣는 섬유보강재) 시장에서 45%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를 달리고 있다.
코오롱은 2008년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원단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코오롱패션머티리얼즈를, 그룹 내 엔지니어링플라스틱(가볍고 강한 특성을 살려 금속을 대체하는 플라스틱) 사업을 한데 모아 코오롱플라스틱을 각각 설립했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이달 초 중국 장쑤성 옌청시에 있는 장쑤한수신재료유한공사와 업무제휴를 맺는 등 중국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천덕꾸러기도 부활
실적 부진으로 한동안 속을 썩였던 비주력 사업들도 살아나고 있다. 효성은 변압기 등을 생산하는 중공업 부문이 공격적인 사업 확장 여파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연속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14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흑자전환에 성공한 중공업 부문은 지난 1분기에만 작년의 두 배가 넘는 38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코오롱글로벌이 하고 있는 코오롱의 건설사업 역시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한동안 고생하다가 지난 1분기 1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증권업계는 지난해 4.92%였던 (주)효성의 영업이익률이 올해 7.13%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일본 도레이는 2016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 영업이익률이 6.66%를 기록할 것으로 자체 분석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장인정신으로 키운 ‘캐시카우’
1980년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 경제에서 섬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했다. 제조업 중 압도적 1위였다. 1983년 제조업에서 섬유·의류업 종사자 수와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4.0%와 17.6%로 가장 높았다. 30년이 지난 2013년에는 이 비율이 각각 5.8%와 3.1%로 뚝 떨어졌다. 한마디로 별 볼 일 없는 산업이 됐다.
효성과 코오롱은 별 볼 일 없는 섬유산업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 (주)효성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에서 섬유(섬유 부문+산업자재 부문)가 차지하는 비중은 64.2%였다. 중공업(17.3%), 화학(6.1%) 등이 뒤를 이었다. 코오롱그룹 내에서는 섬유 화학 주력계열사인 코오롱인더스트리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2006억원과 694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런 실적을 낼 수 있는 것은 본업에 대한 연구개발(R&D)을 멈추지 않은 덕분이다. 효성은 1992년 세계 네 번째로 스판덱스 제품인 ‘크레오라’를 자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세계시장 점유율 1위(작년 기준·약 35%)다. 일반 섬유에 비해 10배 정도 비싼 ㎏당 1만원을 호가하지만, 크레오라를 사려는 거래처가 줄을 이을 정도로 ‘효자’ 상품이 됐다.
코오롱은 철보다 강도가 센 아라미드를 1979년 개발하기 시작해 1995년 완료했다. 2009년부터 이어진 미국 듀폰과의 소송이 지난 5월 합의 종결되면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본업을 기초로 한 성공적 확장
두 그룹은 의류 등에 쓰이는 단순 섬유사업으로 시작해 탄소섬유 등 고부가가치 소재기업으로 변신한 일본 도레이처럼 변신을 꾀하고 있다. 효성은 전 세계 타이어코드(자동차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에 넣는 섬유보강재) 시장에서 45%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를 달리고 있다.
코오롱은 2008년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원단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코오롱패션머티리얼즈를, 그룹 내 엔지니어링플라스틱(가볍고 강한 특성을 살려 금속을 대체하는 플라스틱) 사업을 한데 모아 코오롱플라스틱을 각각 설립했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이달 초 중국 장쑤성 옌청시에 있는 장쑤한수신재료유한공사와 업무제휴를 맺는 등 중국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천덕꾸러기도 부활
실적 부진으로 한동안 속을 썩였던 비주력 사업들도 살아나고 있다. 효성은 변압기 등을 생산하는 중공업 부문이 공격적인 사업 확장 여파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연속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14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흑자전환에 성공한 중공업 부문은 지난 1분기에만 작년의 두 배가 넘는 38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코오롱글로벌이 하고 있는 코오롱의 건설사업 역시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한동안 고생하다가 지난 1분기 1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증권업계는 지난해 4.92%였던 (주)효성의 영업이익률이 올해 7.13%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일본 도레이는 2016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 영업이익률이 6.66%를 기록할 것으로 자체 분석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