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외교차관 "동북아 미래막는 역사문제"…아베담화 겨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김봉구 기자 ] 조태용 외교부 제1차관(사진)은 3일 “역사 인식 문제가 동북아시아 협력 관계가 미래로 나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이달 발표할 전후 70주년 담화(아베 담화)에 고노 담화 등을 계승하는 역사 인식이 담겨야 함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차관은 이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주최로 서울 안암동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동아시아공동체포럼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한중일) 3국이 전후 질서의 기반이 된 역사 인식을 엄중히 계승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면 3국간 협력은 순풍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3월 서울에서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3년 만에 개최된 것을 거론하며 “이렇게 어렵게 피어난 새싹이 하반기 3국 정상회의를 통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최근 지역 정세의 유동성이 증대하고 있다. 주요 2개국(G2)인 중국과 미국의 역내 요인에 한반도 분단이라는 지정학적 굴절 요인이 상존해 지역 불확실성이 높다”며 “역사 인식 문제가 겹치면서 3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 심화에도 불구, 정치·안보 분야 협력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조 차관은 양자관계를 보완하는 동북아 지역의 ‘소지역 포럼’을 대안으로 꼽았다. 특히 동북아에서 유일하게 제도화된 한중일 협력 프로세스의 복원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동북아에 소지역 포럼이 생기면 양자관계의 어려움이나 부침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교류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할 수 있고, 대화의 습관을 정착하고 제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지역 모든 국가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정부가 추진 중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설명하며 “박근혜 정부는 (3국간) 협력이 꼭 필요하면서도 정치적 부담이 없는 분야부터 착실하게 성과를 만들고 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정부 간 협의회 정례화에 합의할 수 있다면 안정적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 주제의 이번 포럼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중국 칭화대 당대국제관계연구원, 일본 도쿄대 현대한국연구센터, 동북아역사재단이 공동주최했다. 김성한 전 외교부 차관(고려대 교수), 천젠 전 중국 외교차관보, 다나카 히토시 전 일본 외무심의관 등이 발표자로 나서고 이와타니 시게오 한중일 협력사무국 사무총장도 참석했다.
[외교차관 "동북아 미래막는 역사문제"…아베담화 겨냥] [한국GM, 임팔라 마케팅 돌입…터줏대감 경쟁차들 '촉각'] [신격호 "신동빈, 한국롯데 회장 임명한 적 없다"] ['서울 성추행 공립고' 교장도 했나 안했나…진위공방] [5300만원으로 즐기는 2도어 스포츠세단, 캐딜락 ATS 쿠페]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조 차관은 이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주최로 서울 안암동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동아시아공동체포럼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한중일) 3국이 전후 질서의 기반이 된 역사 인식을 엄중히 계승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면 3국간 협력은 순풍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3월 서울에서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3년 만에 개최된 것을 거론하며 “이렇게 어렵게 피어난 새싹이 하반기 3국 정상회의를 통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최근 지역 정세의 유동성이 증대하고 있다. 주요 2개국(G2)인 중국과 미국의 역내 요인에 한반도 분단이라는 지정학적 굴절 요인이 상존해 지역 불확실성이 높다”며 “역사 인식 문제가 겹치면서 3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 심화에도 불구, 정치·안보 분야 협력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조 차관은 양자관계를 보완하는 동북아 지역의 ‘소지역 포럼’을 대안으로 꼽았다. 특히 동북아에서 유일하게 제도화된 한중일 협력 프로세스의 복원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동북아에 소지역 포럼이 생기면 양자관계의 어려움이나 부침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교류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할 수 있고, 대화의 습관을 정착하고 제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지역 모든 국가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정부가 추진 중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설명하며 “박근혜 정부는 (3국간) 협력이 꼭 필요하면서도 정치적 부담이 없는 분야부터 착실하게 성과를 만들고 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정부 간 협의회 정례화에 합의할 수 있다면 안정적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 주제의 이번 포럼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중국 칭화대 당대국제관계연구원, 일본 도쿄대 현대한국연구센터, 동북아역사재단이 공동주최했다. 김성한 전 외교부 차관(고려대 교수), 천젠 전 중국 외교차관보, 다나카 히토시 전 일본 외무심의관 등이 발표자로 나서고 이와타니 시게오 한중일 협력사무국 사무총장도 참석했다.
[외교차관 "동북아 미래막는 역사문제"…아베담화 겨냥] [한국GM, 임팔라 마케팅 돌입…터줏대감 경쟁차들 '촉각'] [신격호 "신동빈, 한국롯데 회장 임명한 적 없다"] ['서울 성추행 공립고' 교장도 했나 안했나…진위공방] [5300만원으로 즐기는 2도어 스포츠세단, 캐딜락 ATS 쿠페]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