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델파이 노조의 '이상한 투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년 전엔 대규모 시위로 채권단 압박…이번엔 파업 위협하며 'M&A 불법개입'
강력 대처 나선 S&T "노조가 지분 참여한 2대주주 지원 위해 개입"
한국델파이 노조 "노조 탄압 우려해 투쟁"
강력 대처 나선 S&T "노조가 지분 참여한 2대주주 지원 위해 개입"
한국델파이 노조 "노조 탄압 우려해 투쟁"

한국델파이는 1984년 미국델파이와 대우그룹이 대우자동차에 차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 50%씩 출자해 세운 회사다. 이후 대우그룹이 해체되자 대우 측 지분 50%는 채권단에 넘어갔고, 채권단은 2010년 하반기 지분 매각에 나섰다.

이에 대해 한국델파이 노조는 “S&T가 인수 참여를 철회한 것은 한국델파이 노조의 반대뿐 아니라 S&T그룹 노조협의회의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S&T와는 다른 의견을 밝혔다.
S&T그룹은 이번에도 양상이 비슷하다고 보고 있다. 미국델파이가 지분 50% 매각 협상을 2대 주주인 이래 측과 진행하는 과정에서 S&T가 관심을 보이자, 한국델파이 노조는 4월21일과 28일 해리 루돌프 수석부사장을 면담했다. 노조는 “S&T에 매각되면 즉각적이고도 전면적인 총파업을 전개하겠다”는 뜻을 미국델파이에 전달했다. (한국델파이 4월29일 노조 소식지)
이에 대해 S&T는 한국델파이 노조가 인수 경쟁 상대인 이래 측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 개입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국델파이 임직원은 현재 한국델파이 2대 주주인 이래ns에 지분 참여를 하고 있다. S&T 관계자는 “한국델파이 노조가 자신들과 이해관계가 있는 이래 측의 한국델파이 인수를 지원하기 위해 S&T를 반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S&T는 한국델파이 노조가 개입하는 것은 단순히 입찰을 방해하는 것일 뿐 아니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본시장법 178조1항은 부정거래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데, 경쟁을 배제하고 ‘우선협상대상자 및 매수인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나서는 것은 이 조항에 위배된다는 지적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