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공대 출신 대기업 CEO가 모교에 보낸 편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초도 제대로 안가르쳐…현장에 필요한 과목 가르칠 교수 있나 의문"
“저는 석유화학회사인 롯데케미칼 사장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과거와 달리 모든 교수가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집중해 있어서 현장에서 필요한 단위조작, 열역학, 장치설계 등의 과목을 학부에서 거의 가르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금 이런 과목을 가르칠 교수가 얼마나 있는지도 의문이네요. 현장에서는 아직도 이런 기초과목이 필요합니다. 적어도 학부과정에서는 기초과목을 가르칠 전문 교수를 확보해 졸업생의 기본 소양을 높여주면 좋겠습니다.”
1976년 서울대 공과대학 화학공학과를 나와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 창립멤버로 40여년간 석유화학업계에 몸담고 있는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한국석유화학협회장)이 얼마 전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에게 보낸 편지다. 한국 최고 수준의 교육을 자랑한다는 서울대 공대조차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공학 지식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쓴소리다.
서울대의 한 교수는 “논문 써내기에 급급한 공대로서는 무척 뼈아픈 고언(苦言)”이라고 말했다.
공대 교육이 위기다. 석유화학뿐만이 아니다.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한국을 대표하는 주력산업의 교육과 연구가 갈수록 퇴보하고 있다. 한국 제조업이 엔저(低)와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 미국의 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사면초가’에 직면한 가운데 고급 엔지니어 육성을 목표로 하는 공대조차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실한 공대 교육에서 미래 한국 경제의 구조적 위기가 싹튼다”는 말까지 나온다. 높은 취업률로 입시에서는 인기를 누리는 한국 공대의 어두운 그림자다.
"기업·사회에 필요한 인재 못 키워"…주요 공대 학장 10명 중 9명 반성
주요 공대 학장들도 이 같은 인식에 공감했다. 한국경제신문이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 포스텍 한양대 KAIST 등 전국 주요 대학의 공대 학장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명이 “한국의 공대가 기업과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학장들 모두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등 논문 실적 중심의 공대 평가를 의식해 논문이 잘 나오는 특정 분야의 교수 채용을 늘리고 있다”고 했다. 또 이들 중 8명(80%)은 공대가 갈수록 산업현장과 멀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논문 실적 위주의 각종 평가를 꼽았다.
공대 학장들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논문실적 위주의 획일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각 대학별 특성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은 “연구중심대학과 산업현장 수요에 특화된 대학 간 역할을 나누는 방향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은 “개별 대학이 설립취지와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발전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성진 성균관대 공대 학장은 “현재 한국의 공대엔 구성원들의 교육·연구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기업가적 생태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며 “대학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기업가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근 중앙대 공대 학장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상과 정보를 대학이 공유할 수 있도록 대학과 산업계 간 상호 소통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 (대학 가나다순)
△황주호 경희대 공대 학장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 △박석 서강대 공대 학장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 △송성진 성균관대 공대 학장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 △김창근 중앙대 공대 학장 △이건홍 포스텍 공학장 △김용수 한양대 공대 학장 △이정권 KAIST 공대 학장
오형주/박상용 기자 ohj@hankyung.com
1976년 서울대 공과대학 화학공학과를 나와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 창립멤버로 40여년간 석유화학업계에 몸담고 있는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한국석유화학협회장)이 얼마 전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에게 보낸 편지다. 한국 최고 수준의 교육을 자랑한다는 서울대 공대조차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공학 지식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쓴소리다.
서울대의 한 교수는 “논문 써내기에 급급한 공대로서는 무척 뼈아픈 고언(苦言)”이라고 말했다.
공대 교육이 위기다. 석유화학뿐만이 아니다.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한국을 대표하는 주력산업의 교육과 연구가 갈수록 퇴보하고 있다. 한국 제조업이 엔저(低)와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 미국의 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사면초가’에 직면한 가운데 고급 엔지니어 육성을 목표로 하는 공대조차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실한 공대 교육에서 미래 한국 경제의 구조적 위기가 싹튼다”는 말까지 나온다. 높은 취업률로 입시에서는 인기를 누리는 한국 공대의 어두운 그림자다.
"기업·사회에 필요한 인재 못 키워"…주요 공대 학장 10명 중 9명 반성
주요 공대 학장들도 이 같은 인식에 공감했다. 한국경제신문이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 포스텍 한양대 KAIST 등 전국 주요 대학의 공대 학장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명이 “한국의 공대가 기업과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학장들 모두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등 논문 실적 중심의 공대 평가를 의식해 논문이 잘 나오는 특정 분야의 교수 채용을 늘리고 있다”고 했다. 또 이들 중 8명(80%)은 공대가 갈수록 산업현장과 멀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논문 실적 위주의 각종 평가를 꼽았다.
공대 학장들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논문실적 위주의 획일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각 대학별 특성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은 “연구중심대학과 산업현장 수요에 특화된 대학 간 역할을 나누는 방향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은 “개별 대학이 설립취지와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발전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성진 성균관대 공대 학장은 “현재 한국의 공대엔 구성원들의 교육·연구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기업가적 생태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며 “대학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기업가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근 중앙대 공대 학장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상과 정보를 대학이 공유할 수 있도록 대학과 산업계 간 상호 소통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 (대학 가나다순)
△황주호 경희대 공대 학장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 △박석 서강대 공대 학장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 △송성진 성균관대 공대 학장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 △김창근 중앙대 공대 학장 △이건홍 포스텍 공학장 △김용수 한양대 공대 학장 △이정권 KAIST 공대 학장
오형주/박상용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