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수능'에 절대평가까지…영어 격차 더 키울 건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학능력시험이 또 바뀐다. 이번엔 영어 시험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교육부는 지금의 고1이 수능을 치르는 2018학년도부터 그렇게 하겠다는 것이다.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은 1등급, 80~89점은 2등급 등 10점 단위로 1~9등급을 매기는 식이다. 원점수도 표기하지 않아 90점이나 100점이나 똑같이 1등급이 된다. 영어 1~2점을 더 받기 위한 불필요한 경쟁이 크게 완화될 것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부 기대대로 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해 보인다. 지난해 수능에서 영어 원점수가 90점 이상인 수험생이 전체의 15.6%(9만664명)다. 서울의 4년제 대학 모집정원(7만7990명)보다도 많다. 그렇지 않아도 ‘물수능’인데 절대평가로 바뀌면 영어 변별력은 아예 사라진다. 대신 다른 과목의 영향력이 커져 사교육의 풍선효과가 생겨날 것이다. 대학들도 대학별 고사나 면접을 통해 변별력을 보완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영어 사교육이 더 번성할 수도 있다.
물론 영어 사교육과 과잉교육은 문제다. 하지만 교육부는 번지수를 잘못 짚었다. 학부모와 학생들이 소위 ‘영어 하나라도 건지자’며 막대한 돈과 시간·노력을 쏟아붓는 것은 비단 수능 때문만이 아니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영어는 보병의 소총과도 같은 필수 무기다. 더구나 영어능력에 따라 평생 사회·경제적 격차가 벌어지는 ‘잉글리시 디바이드’ 시대다. 수능영어를 절대평가로 바꾸면 모두가 영어 부담에서 벗어날 것으로 믿는다면 너무도 순진한 발상이다.
사교육을 줄이고 싶으면 학교 영어교육부터 강화할 일이다. 그래야 어학연수는 꿈도 못 꾸는 저소득층 자녀들의 영어 격차를 다소나마 줄여줄 수 있다. 무상급식을 한다며 원어민 교사부터 줄이고, 수능이 쉬워진다고 대충 가르치는 식으론 나라의 미래도 기약할 수 없다.
하지만 교육부 기대대로 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해 보인다. 지난해 수능에서 영어 원점수가 90점 이상인 수험생이 전체의 15.6%(9만664명)다. 서울의 4년제 대학 모집정원(7만7990명)보다도 많다. 그렇지 않아도 ‘물수능’인데 절대평가로 바뀌면 영어 변별력은 아예 사라진다. 대신 다른 과목의 영향력이 커져 사교육의 풍선효과가 생겨날 것이다. 대학들도 대학별 고사나 면접을 통해 변별력을 보완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영어 사교육이 더 번성할 수도 있다.
물론 영어 사교육과 과잉교육은 문제다. 하지만 교육부는 번지수를 잘못 짚었다. 학부모와 학생들이 소위 ‘영어 하나라도 건지자’며 막대한 돈과 시간·노력을 쏟아붓는 것은 비단 수능 때문만이 아니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영어는 보병의 소총과도 같은 필수 무기다. 더구나 영어능력에 따라 평생 사회·경제적 격차가 벌어지는 ‘잉글리시 디바이드’ 시대다. 수능영어를 절대평가로 바꾸면 모두가 영어 부담에서 벗어날 것으로 믿는다면 너무도 순진한 발상이다.
사교육을 줄이고 싶으면 학교 영어교육부터 강화할 일이다. 그래야 어학연수는 꿈도 못 꾸는 저소득층 자녀들의 영어 격차를 다소나마 줄여줄 수 있다. 무상급식을 한다며 원어민 교사부터 줄이고, 수능이 쉬워진다고 대충 가르치는 식으론 나라의 미래도 기약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