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이 면세점 특허 수성에 나섰다. 오는 2020년까지 1500억 원의 사회공헌 계획과 세계 1위 달성 목표를 제시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한경닷컴 DB)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한경닷컴 DB)
신 회장은 12일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롯데면세점 제2통합물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생 2020' 비전을 선포했다.

신 회장은 "롯데면세점이 35년간 쉬지 않고 달려온 결과 세계 3위의 면세사업자로 성장했다" 며 "2020년까지 세계 1위를 달성하고, 1500억 원의 상생기금을 바탕으로 창조경제와 나눔문화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상생 2020은 중소·중견기업과의 상생, 취약 계층 자립 지원, 관광인프라 개선, 일자리 확대 등 네 가지 핵심 추진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이 같은 과제의 실천 방안으로 중소파트너사 동반성장펀드 조성, 중소브랜드 매장면적 확대, 인큐베이팅관 도입, 취약계층 자립지원 등을 내놨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5년간 총 1500억 원을 사용하기로 했다.

상생 2020에는 동반성장펀드를 비롯한 중소·중견기업과 지역 중소상인들이 롯데면세점에서 안정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수 포함시켰다. 롯데면세점은 총 2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펀드를 조성해 우수 협력사들의 성장을 돕는 기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중소브랜드 매장 면적도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소공점과 월드타워점의 중소기업 매장 면적을 현재 각각 1505㎡,1318㎡에서 내년 12월까지 2805㎡, 2975㎡로 넓히기로 했다.

중소브랜드 해외시장 진출을 돕는 상생 모델인 '인큐베이팅관'을 운영한다는 복안도 내놨다. 이는 가능성 있는 중소브랜드를 발굴해 면세점 판매는 물론 홍보지원 등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돕는 육성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해 전담조직인 '동반성장팀'을 올해 안에 신설할 예정이다.

롯데면세점은 이 같은 프로그램을 꾸준히 지원, 국내 중소브랜드가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3600억원 규모인 본점 및 월드타워점 내 중소브랜드 매출을 2020년에는 4배 가까운 1조3500억원 규모로 늘리는 게 목표다.

이와 함께 지방 울산, 창원, 청주, 양양 등 중소 시내면세점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상생활동도 확대한다.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명동과 잠실 전통시장 및 중소상인들과의 상생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열린 채용문화 확산에도 앞장서기로 했다고 전했다.

신 회장은 "2020년까지 세계 1위를 달성해 '서비스업의 삼성전자'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롯데그룹 총수인 신 회장이 계열사 간담회에 참석한 것은 이례적이다. 신 회장이 직접 챙기기에 나서면서 경영권 분쟁으로 불거진 '반(反)롯데' 정서를 넘어 소공점(특허만료일 12월22일)과 롯데월드점(12월31일) 두 곳을 모두 지켜낼 수 있을지 관심이다. 롯데월드점의 경우 '2차 면세점 대전'에서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이다. 기존 운영자인 롯데면세점 외에 신세계디에프, 두산, SK네트웍스가 모두 특허를 신청한 상태다.

한편, 두산도 이날 면세점 관련 간담회를 연다. 두산은 동현수 사장이 두산타워 소재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와 함께 면세사업 태스크포스팀(TFT) 임원들이 배석, 보다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전할 계획이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