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과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으로 개최한 ‘창조경제, 성과와 과제’ 세미나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현대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영 한국여성벤처협회장,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장, 이영선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정규재 한국경제신문 주필, 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최종배 미래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 신경훈 기자nicerpeter@hankyung.com
현대경제연구원과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으로 개최한 ‘창조경제, 성과와 과제’ 세미나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현대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영 한국여성벤처협회장,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장, 이영선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정규재 한국경제신문 주필, 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최종배 미래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 신경훈 기자nicerpeter@hankyung.com
정부가 대기업과 손잡고 전국 17곳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하면서 올 들어 관련 창업 보육, 투자 등이 다섯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원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창조경제, 성과와 과제’ 세미나에서 “정부와 대기업이 주도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지만 지역 곳곳의 에너지를 모아 창업으로 연결하는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미나는 현대경제연구원과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주최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후원했다.

○창조경제 생태계 개선

최근 한국 경제는 성장 정체와 일자리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 창조경제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돌파구로 제시한 핵심 국정과제다. 이날 세미나는 3년차 창조경제 정책을 중간 점검하고 개선 과제를 찾기 위해 마련됐다.

기조발제를 맡은 현 교수는 창업 생태계가 개선된 것을 최대 성과로 평가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보육기업은 지난 1월 45개에서 8월 말 기준 333개로 일곱 배 이상 늘어났고 창업 멘토링, 컨설팅 사례도 여섯 배 이상 늘었다. 투자 규모도 1월 기준 118억원에서 8월 말 337억원으로 증가했다.

체온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한 테그웨이는 유네스코가 선정한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줄 세계 10대 정보기술(IT)’ 가운데 그랑프리로 선정됐다.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업체인 노바토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판도라TV에 매각되기도 했다. 현 교수는 “엔젤 투자 소득공제 확대, 제3자 연대보증 폐지, 스톡옵션 제도 개선 등 창업 단계별로 제도를 개선한 것도 성과”라고 진단했다. 최종배 미래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은 “창조경제 정책 도입 후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지만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상상, 도전, 융합 등 창조경제로 패러다임을 바꿔나가는 것”이라며 “창조경제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이어나가야 할 국정과제”라고 말했다.

○대기업 사내벤처 활성화 필요

창업 지원 인프라가 개선되고 있는 것과 달리 여전히 부족한 기업가 정신을 회복하는 것은 과제로 꼽혔다. 직업 선호도 조사에서 공무원을 가장 선호하는 등 사회 전반의 안정 지향 사고가 바뀌지 않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은 대기업 사내 벤처 창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이사장은 “10% 정도의 창업이 대학에서 나오고 나머지 90%는 기존 기업 출신들의 창업”이라며 “기업 내 기업가 정신 교육을 강화하고 사내벤처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사내 기업가 양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벤처 투자 선순환 구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인수합병(M&A), 기술거래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영 한국여성벤처협회장은 “창업 후 기업공개(IPO)까지 가려면 평균 14년이 걸리는 등 마라톤 같은 레이스를 해야 하는데 현재 지원 정책의 80%가 창업 초기 3년 기업에 쏠려 있다”며 “M&A, 기술거래 등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등 창업 생태계의 균형을 갖추는 데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영선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학생들이 취업, 진학 이외에 창업을 대안으로 생각하고 국민 대다수도 창조경제로 가야 한다는 공감대를 갖게 된 것은 성과”라면서도 “산업화 시대 경제체질을 창조경제에 맞게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만큼 사회 분위기 전반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