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알뜰주유소…착한가격업소…정부 개입의 예고된 실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도입한 알뜰주유소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한경 보도(1월28일자 A9면)다. 국제유가 급락으로 일반주유소와 알뜰주유소의 판매가격 차이가 별로 나지 않게 되자 알뜰주유소 중 일반주유소로 전환하거나 아예 폐업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달 들어서는 새로 문을 연 곳보다 문 닫은 곳이 더 많아 전국의 알뜰주유소 수가 2011년 도입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한다.
예고됐던 결말이다. 정부가 기름값을 낮추겠다며 알뜰주유소에 구입단가를 낮춰주고 세금까지 깎아주며 온갖 특혜를 줬지만, 결국 실패로 귀결하고 있다. 지금 일반주유소와 알뜰주유소 간 휘발유값 차이가 고작 L당 18원 수준에 불과하다. 굳이 셀프주유를 감수하며 외딴 알뜰주유소를 찾을 차별성이 없다. 정부의 기름값 개입은 교통세 등 유류세 문제만 부각시키고 말았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올 1월 둘째주 전국 휘발유 평균가격은 L당 1391.9원으로 작년 1월보다 11.1% 떨어졌지만, 유류세가 휘발유값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고유가 시절 50% 수준에서 63%로 급증했다. 국제유가가 떨어질수록 유류세에 대한 불만은 더 커질 것이다.
이른바 ‘착한가격업소’도 알뜰주유소 꼴이다. 2012년 6734개였던 전국의 착한가격업소는 인증 반납, 폐업 등으로 작년 7월 6334곳으로 줄었다. 서울에서만 올 1월까지 200여곳이 인증을 포기했다고 한다. 70% 이상이 음식점인데, 주변 업소보다 싼 가격을 1년 동안 유지하라고 하니 도저히 못 버티겠다는 업소가 속출하는 것이다.
정부의 시장개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가격은 고도화된 사회적 분업, 뼈를 깎는 원가절감의 결과물이다. ‘착한 가격’이란 말은 듣기는 좋을지 몰라도 사업의 지속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시장에 맡겨야 할 일이 있고 정부가 할 일이 따로 있다. 정부가 시장을 관리 대상으로 여겨 개입하는 것은 시장을 파괴할 뿐이다. 그런데도 국회와 정부는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을 키우겠다며 끊임없이 개입을 확대하려고만 든다. 시장의 보복을 보고도 모른다.
예고됐던 결말이다. 정부가 기름값을 낮추겠다며 알뜰주유소에 구입단가를 낮춰주고 세금까지 깎아주며 온갖 특혜를 줬지만, 결국 실패로 귀결하고 있다. 지금 일반주유소와 알뜰주유소 간 휘발유값 차이가 고작 L당 18원 수준에 불과하다. 굳이 셀프주유를 감수하며 외딴 알뜰주유소를 찾을 차별성이 없다. 정부의 기름값 개입은 교통세 등 유류세 문제만 부각시키고 말았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올 1월 둘째주 전국 휘발유 평균가격은 L당 1391.9원으로 작년 1월보다 11.1% 떨어졌지만, 유류세가 휘발유값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고유가 시절 50% 수준에서 63%로 급증했다. 국제유가가 떨어질수록 유류세에 대한 불만은 더 커질 것이다.
이른바 ‘착한가격업소’도 알뜰주유소 꼴이다. 2012년 6734개였던 전국의 착한가격업소는 인증 반납, 폐업 등으로 작년 7월 6334곳으로 줄었다. 서울에서만 올 1월까지 200여곳이 인증을 포기했다고 한다. 70% 이상이 음식점인데, 주변 업소보다 싼 가격을 1년 동안 유지하라고 하니 도저히 못 버티겠다는 업소가 속출하는 것이다.
정부의 시장개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가격은 고도화된 사회적 분업, 뼈를 깎는 원가절감의 결과물이다. ‘착한 가격’이란 말은 듣기는 좋을지 몰라도 사업의 지속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시장에 맡겨야 할 일이 있고 정부가 할 일이 따로 있다. 정부가 시장을 관리 대상으로 여겨 개입하는 것은 시장을 파괴할 뿐이다. 그런데도 국회와 정부는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을 키우겠다며 끊임없이 개입을 확대하려고만 든다. 시장의 보복을 보고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