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향기] "무역 전시회만 국고 주는 '반쪽 지원제' 개선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체 전시회의 80% 차지하는 혼합·일반전시회는 지원 배제
'수출 보조수단' 인식 벗어나 산업적 측면에서 지원책 필요
'수출 보조수단' 인식 벗어나 산업적 측면에서 지원책 필요
“전시회를 여는 목적이 해외 수출에만 있는 건 아니죠. 일반 소비자들이 찾는 전시회도 내수시장을 통해 산업 성장을 이끄는 등 마켓플레이스로서 역할을 다 하고 있으니까요.”
민간 전시 주최사 베페의 이근표 대표는 “전시회를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한 무역의 보조수단으로만 바라보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이렇게 말했다. 매년 2월과 8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베페 베이비 페어’는 국내 최대 출산·육아용품 전시회다. 행사 때마다 10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고 10만명이 넘게 참관한다. 4일의 행사기간에 현장에서 거래되는 판매액은 약 250억원. 수출상담 위주의 웬만한 무역 전시회보다도 높은 성과다.
하지만 베페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한 번도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베페 베이비 페어가 해외 바이어가 참여하는 무역 전시회가 아니기 때문이다. 무역 전시회 중심의 정부 지원제도가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업계 안팎에서 이어지는 이유다.
2014년 전국 13개 전시장에서 열린 전시회는 모두 570건.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중심의 일반 전시회가 277건, B2C와 B2B(기업 간 거래)가 결합한 혼합 전시회는 174건이 열렸다. 정부의 지원 대상에 속하는 무역 전시회는 119건이 개최됐다.
지난 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에서 열리는 전시회 가운데 50개를 국고지원 대상 행사로 선정했다. 지역특화 전시회에 뽑힌 1~2개를 제외하면 90% 이상이 무역 전시회다. 올해 정부의 전시회 개최비 지원 예산은 36억6000만원. 전시회 면적, 해외 기업과 바이어의 참여 비중에 따라 행사별로 3000만~3억5000만원을 차등 지원한다.
문제는 정부가 정한 지원 대상 전시회가 무역 전시회로 제한돼 80%에 이르는 혼합·일반 전시회는 아예 지원 자격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시회를 한국산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무역의 보조 수단으로만 보기 때문이다. 베페 베이비 페어와 같이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열리는 전시회들이 국제적인 무역 전시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프로그램이나 정책도 없다.
올해 정부 지원 대상에 선정된 한 전시 주최사 관계자는 “사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전시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시행 중인 개최비 지원사업은 해외바이어 유치에 집중돼 있어 온전히 전시산업을 위한 것이라기 보기 어렵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시산업을 하나의 독자 산업으로 이해하고 그에 부합하는 산업 육성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봉석 경희대 교수는 “최근 온라인 직접구매 증가 등 바이어와 소비자의 구매 패턴이 바뀌면서 무역 전시회와 일반 전시회의 구별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며 “이 같은 시장 변화에 맞춰 정부의 전시산업 육성 정책도 변화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eonwoo_lee@hankyung.com
하지만 베페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한 번도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베페 베이비 페어가 해외 바이어가 참여하는 무역 전시회가 아니기 때문이다. 무역 전시회 중심의 정부 지원제도가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업계 안팎에서 이어지는 이유다.
2014년 전국 13개 전시장에서 열린 전시회는 모두 570건.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중심의 일반 전시회가 277건, B2C와 B2B(기업 간 거래)가 결합한 혼합 전시회는 174건이 열렸다. 정부의 지원 대상에 속하는 무역 전시회는 119건이 개최됐다.
지난 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에서 열리는 전시회 가운데 50개를 국고지원 대상 행사로 선정했다. 지역특화 전시회에 뽑힌 1~2개를 제외하면 90% 이상이 무역 전시회다. 올해 정부의 전시회 개최비 지원 예산은 36억6000만원. 전시회 면적, 해외 기업과 바이어의 참여 비중에 따라 행사별로 3000만~3억5000만원을 차등 지원한다.
문제는 정부가 정한 지원 대상 전시회가 무역 전시회로 제한돼 80%에 이르는 혼합·일반 전시회는 아예 지원 자격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시회를 한국산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무역의 보조 수단으로만 보기 때문이다. 베페 베이비 페어와 같이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열리는 전시회들이 국제적인 무역 전시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프로그램이나 정책도 없다.
올해 정부 지원 대상에 선정된 한 전시 주최사 관계자는 “사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전시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시행 중인 개최비 지원사업은 해외바이어 유치에 집중돼 있어 온전히 전시산업을 위한 것이라기 보기 어렵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시산업을 하나의 독자 산업으로 이해하고 그에 부합하는 산업 육성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봉석 경희대 교수는 “최근 온라인 직접구매 증가 등 바이어와 소비자의 구매 패턴이 바뀌면서 무역 전시회와 일반 전시회의 구별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며 “이 같은 시장 변화에 맞춰 정부의 전시산업 육성 정책도 변화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eonwoo_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