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어제 산업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내놨다. 2018년까지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이른바 ‘조선 3사’의 건조설비와 인력을 각각 23%, 32% 감축하고, 조선사별 강점분야를 중심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며, 단기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까지 11조원어치(250척)의 공공선박 발주를 추진한다는 게 골자다. 관심을 모았던 ‘빅2 체제’로의 재편 등 조선산업 구조개편 방안은 빠졌다. 맥킨지가 대우조선의 독자생존이 어렵다는 의견을 냈지만 정부는 일단 현행 3사 체제에서 조선산업을 회생시키는 쪽을 택했다고 볼 수 있다.

정부가 이런 시나리오를 결정하기까지는 고심이 컸을 것이다. 대우조선을 바로 정리할 경우 고용시장에 주는 충격, 국책은행 동반 부실 등의 연쇄적 파급효과를 무시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2018년부터 조선산업이 조금씩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점도 그때까지 고강도 자구노력을 해가면서 기회를 찾아보자는 쪽으로 기울게 했을 것이다.

정부의 이런 판단이 부디 맞아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청산을 제외하면 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방안은 거의 다 나왔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채권단이 대우조선에 지원하기로 결정한 4조2000억원 중 3조5000억원이 이미 집행됐고,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출자전환 등 자본확충계획도 추진 중이다. 여기에 이번에 발표된 지원방안까지 포함하면 대우조선이 더 이상 정부에 손을 벌릴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제 공은 대우조선 회사와 노조에 넘어갔다. 노조와 종사자들은 뼈를 깎는 구조조정이 없다면 회사 운명이 원칙대로 처리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 자구계획에 제시된 대로 2018년까지 직영인력 41% 감축, 14개 자회사 매각, 선박 건조에 필요한 시설 외 모든 부동산 매각, ‘상선’ 중심으로의 사업재편 등이 차질없이 이행돼야 한다. 대우조선의 회생 여부는 이제 그들의 손에 넘어갔다. 당신들의 실력을 보여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