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7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국내 사물인터넷(IoT) 시장 선점을 놓고 국내 1위 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과 2, 3위 사업자인 KT, LG유플러스 연합군이 첨예한 대결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일찌감치 글로벌 IoT 기술방식 중 하나인 ‘LoRa(로라)’를 채택해 지난 6월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고 산업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다. 이에 맞서 KT와 LG유플러스는 또 다른 기술방식인 ‘NB(협대역)-IoT’ 상용화 공동 추진 등 IoT 동맹을 맺고 기술 개발에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김준근 KT 기가IoT사업단장(왼쪽)과 안성준 LG유플러스 IoT사업부문장은 지난 3일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NB-IoT 협력을 다짐했다.  LG유플러스  제공
김준근 KT 기가IoT사업단장(왼쪽)과 안성준 LG유플러스 IoT사업부문장은 지난 3일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NB-IoT 협력을 다짐했다. LG유플러스 제공
KT·LG유플러스, 내년 IoT 전국망 구축

KT와 LG유플러스는 지난 3일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NB-IoT 발전전략 관련 공동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내년 1분기까지 NB-IoT 기술 상용화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내년 말까지 NB-IoT 전국망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기술개발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칩세트, 모듈, 단말 등 IoT 핵심부품을 공동구매하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IoT는 TV, 냉장고 등 전자제품은 물론 가방, 꽃병, 가스검침기 등 비(非)전자제품에도 동전 크기만한 통신 모듈을 달아 사물 간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해당 사물의 원격 제어는 물론 위치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커넥티드카와 스마트시티, 물류혁신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끌 기반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세계적으로 IoT 연결기기 수가 올해 64억개에서 2020년에는 세 배 이상인 208억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외 IoT 시장 규모는 지난해 3000억달러에서 2020년 1조달러, 국내 IoT 시장은 같은 기간 3조3000억원에서 17조1000억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추산됐다.

김준근 KT 기가 IoT사업단장은 “공동 시장 창출보다 경쟁에 치중했던 통신시장에서 KT와 LG유플러스의 사업 협력은 의미가 크다”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무한 성장이 예상되는 IoT 분야에서 LG유플러스와 지속적으로 협력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NB-IoT vs 로라’ 시장 선점 경쟁

글로벌 IoT 시장은 아직 초기인 만큼 단일 기술표준이 없다. 이동통신 국제 표준화기구인 3GPP가 주도하는 ‘NB-IoT’와 유럽 중심의 로라얼라이언스가 주도하는 ‘로라’ 등 2개 기술방식이 경쟁하는 구도다. 세계 주요 통신·제조사들이 많이 선택한 기술 방식이 향후 글로벌 IoT 시장을 주도하게 되고, 그렇지 못한 기술은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NB-IoT 진영에는 영국 보다폰, 일본 KDDI, 미국 AT&T가 속해 있다. 로라얼라이언스 진영에는 프랑스 오렌지, 네덜란드 KPN, 스위스콤 등 유럽 통신사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고 국내 1위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도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3세대(G), 4G 등 모바일 기술 개발의 초점이 통신속도 향상에 맞춰졌다면, IoT 통신기술은 거꾸로 통신속도를 안정적으로 떨어뜨리는 게 관건이다. 가스검침 원격제어 등 IoT망에 연동된 일반 사물에 탑재되는 통신 모듈의 경우 동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니라 간단한 검침 정보 데이터 전송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저용량, 저속도의 시스템인 만큼 통신모듈의 배터리 수명도 최대 10년에 달한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IoT 전용 전국망인 LoRa(로라)망 구축을 완료했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지난 6월 IoT 전용 전국망인 LoRa(로라)망 구축을 완료했다. SK텔레콤 제공
IoT 로밍도 구현 가능

NB-IoT, 로라 등 같은 기술표준을 쓰는 도시나 국가에서는 휴대폰 로밍과 비슷한 IoT 로밍도 가능해진다. IoT 로밍 기술은 이 같은 동일 표준 네트워크에 IoT 센서를 탑재한 사물들을 연결시켜 자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원격 제어하거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여행가방이나 고가 명품가방에 IoT 위치추적 센서를 부착해 놓으면 로라 네트워크가 깔려 있는 세계 어느 도시에서나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해운회사들은 수출 컨테이너에 로밍이 가능한 IoT 모듈을 부착해 국내에서도 컨테이너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날씨와 항만 여건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컨테이너 이동 상황을 국내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돼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2020년 17조원 시장"…이통3사, IoT 주도권 전쟁
기술 우위 놓고 신경전 치열

국내 이통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 온 KT와 LG유플러스의 사업협력은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진다. 업계 일각에선 두 회사가 통신 1위 사업자 SK텔레콤을 공동 견제하기 위해 내놓은 전략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술 우위를 둘러싼 KT·LG유플러스 연합군과 SK텔레콤 양측 간 신경전도 치열하다. 조창길 LG유플러스 네트워크전략 담당 상무는 “커버리지, 출력, 속도 등에서 NB-IoT가 로라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낸다”며 “NB-IoT는 비(非)면허 주파수를 사용하는 로라보다 안정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NB-IoT는 기존 4세대(LTE) 통신망을 활용하기 때문에 정부가 통신사에 배분한 주파수 대역을 쓴다. 로라는 와이파이 개념과 비슷한 비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해 주파수 간섭 등의 우려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돼 왔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관계자는 “주파수 간섭은 자동 간섭 회피 기술 등을 적용해 이미 논란이 사라진 문제”라며 “로라 진영에는 전 세계 400여개 회원사가 가입해 있는 데다 나라별로 전국망 구축 계획 발표도 잇따르고 있어 향후 시장 선점에 유리한 위치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