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 창업도 뜯어먹겠다는 곳이 줄을 섰다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학들은 목청 높여 창업을 외치지만 교수 창업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대학 산학협력 활동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4년제 대학 교수 창업은 2014년 43개 기업, 매출 합계 88억8900만원이었지만 2015년에는 41개 기업, 매출 합계 40억7200만원으로 후퇴했다. 학생 창업도 기업당 연매출이 해가 갈수록 뒷걸음질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 환경은 열악하기 짝이 없는데 어렵사리 수익을 내기라도 하면 곳곳에서 돈을 뜯어가기 바쁜 탓이라는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교수 창업에 필요한 정보통신 시설이나 연구실 기자재 이용 등을 적극 지원하는 대학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반면 ‘시설이용비’ ‘재정기여금’ 등의 명목으로 창업료를 징수하는 대학은 줄을 섰다. 주식의 3%를 산학협력단에 무상 증여한다거나 주식의 5%에 상응하는 기술료를 납부한다고 규정한 대학도 적지 않았다. 대학이 창업 인프라 확충에는 관심이 없고 수익을 챙기는 데만 혈안이 돼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창업과 관련한 정부의 무분별한 돈 퍼붓기도 하나의 원인이 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차피 눈 먼 돈이니 서로 나눠먹자는 도덕적 해이가 그런 것이다. 정부 창업지원 예산은 다 쓰지도 못할 만큼 넘친다는 판국이다. 어느 경우든 대학 창업 환경이 비정상인 것만은 틀림없다. 이러다 보니 한국의 대학 창업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를 들을 수밖에 없다. 2004년에 39%에 달할 정도로 높았던 국내 벤처기업 중 교수·연구원 창업 비율도 지금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저조한 교수 창업은 학생 창업에도 부정적이다. 한국을 대표한다는 서울대 KAIST 출신의 창업기업 수, 연매출 등은 미국의 스탠퍼드대 MIT와는 비교조차 어렵다. 창업 대학으로 발전해 가려면 잘못된 창업 환경부터 즉각 바로잡아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교수 창업에 필요한 정보통신 시설이나 연구실 기자재 이용 등을 적극 지원하는 대학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반면 ‘시설이용비’ ‘재정기여금’ 등의 명목으로 창업료를 징수하는 대학은 줄을 섰다. 주식의 3%를 산학협력단에 무상 증여한다거나 주식의 5%에 상응하는 기술료를 납부한다고 규정한 대학도 적지 않았다. 대학이 창업 인프라 확충에는 관심이 없고 수익을 챙기는 데만 혈안이 돼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창업과 관련한 정부의 무분별한 돈 퍼붓기도 하나의 원인이 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차피 눈 먼 돈이니 서로 나눠먹자는 도덕적 해이가 그런 것이다. 정부 창업지원 예산은 다 쓰지도 못할 만큼 넘친다는 판국이다. 어느 경우든 대학 창업 환경이 비정상인 것만은 틀림없다. 이러다 보니 한국의 대학 창업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를 들을 수밖에 없다. 2004년에 39%에 달할 정도로 높았던 국내 벤처기업 중 교수·연구원 창업 비율도 지금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저조한 교수 창업은 학생 창업에도 부정적이다. 한국을 대표한다는 서울대 KAIST 출신의 창업기업 수, 연매출 등은 미국의 스탠퍼드대 MIT와는 비교조차 어렵다. 창업 대학으로 발전해 가려면 잘못된 창업 환경부터 즉각 바로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