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혁신·글로벌화로 車산업 살려야"…업계 "現노사관계 계속 땐 회생 불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동차산업학회 학술대회…비명 쏟아낸 업계
부품사 모인 車산업협동조합
"최저임금·주52시간 감당 못해"
완성차 대변하는 車산업협회
"대대적인 노동개혁 필요하다"
부품사 모인 車산업협동조합
"최저임금·주52시간 감당 못해"
완성차 대변하는 車산업협회
"대대적인 노동개혁 필요하다"
한국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이 “지금 같은 노사 관계가 계속되면 한국 자동차산업은 절대 회복할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1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한국자동차산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다. 행사에 참석한 교수와 연구원 등 전문가들은 ‘혁신’과 ‘글로벌화’ 등이 한국 자동차산업을 살릴 해법이라고 했지만 정작 현장에 몸담고 있는 이들은 “노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답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발제를 맡은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는 “2013년 이후 한국 자동차산업의 개혁과 발전은 멈췄다”며 “전략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5년간 자동차업계가 노사관계 문제에 집중하다 보니 해외 진출 및 미래자동차 분야 투자에 소홀했다고 지적하면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새로운 시장에 적극 뛰어들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까지 한국 부품회사들은 완성차업체가 해외에 진출하면 함께 나가는 소극적 글로벌화를 하는 데 그쳤다”며 “국내 완성차 업체에 집중된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적극적인 글로벌화를 추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상명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중심이 자율주행차와 전기자동차 등 미래자동차 분야로 이동하고 있다”며 “부품사들도 미래차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발표가 끝난 뒤 이어진 토론회에선 전혀 다른 목소리가 나왔다. 결국 꽉 막힌 노사 관계가 해소되지 않고, 기업을 옥죄는 각종 노동 관련 규제가 풀리지 않으면 완성차 및 부품회사가 다시 살아나기 힘들다는 의견이었다.
자동차 부품회사 모임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의 고문수 전무는 “완성차 판매량이 줄면서 가뜩이나 경영 환경이 나빠졌는데 최저임금이 해마다 크게 올라 감당이 안 된다”며 “내년엔 2차 협력업체 중 70%가 최저임금을 주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런 와중에 주 52시간 근로제(근로시간 단축)가 시행되면서 그나마 주문을 받아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며 “많은 업체가 생존을 걱정한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발제를 맡은 전문가들이 자동차업계가 너무 노사 문제에 매몰됐다고 하는데 노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으니 그 문제에 집착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완성차업체를 대변하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도 같은 목소리가 나왔다. 김태년 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 “한국 자동차업계 근로자의 인건비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해마다 되풀이되는 노사 갈등 탓에 생산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자동차산업이 살아나려면 대대적인 노동개혁이 필요하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는 게 문제”라며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나온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한국 완성차업체의 생산량 감소는 불가피하며 전기자동차 시대가 오면 필요한 부품 수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며 “자동차 부품시장의 규모 축소는 불가피한 만큼 새로운 시장을 찾고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발제를 맡은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는 “2013년 이후 한국 자동차산업의 개혁과 발전은 멈췄다”며 “전략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5년간 자동차업계가 노사관계 문제에 집중하다 보니 해외 진출 및 미래자동차 분야 투자에 소홀했다고 지적하면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새로운 시장에 적극 뛰어들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까지 한국 부품회사들은 완성차업체가 해외에 진출하면 함께 나가는 소극적 글로벌화를 하는 데 그쳤다”며 “국내 완성차 업체에 집중된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적극적인 글로벌화를 추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상명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중심이 자율주행차와 전기자동차 등 미래자동차 분야로 이동하고 있다”며 “부품사들도 미래차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발표가 끝난 뒤 이어진 토론회에선 전혀 다른 목소리가 나왔다. 결국 꽉 막힌 노사 관계가 해소되지 않고, 기업을 옥죄는 각종 노동 관련 규제가 풀리지 않으면 완성차 및 부품회사가 다시 살아나기 힘들다는 의견이었다.
자동차 부품회사 모임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의 고문수 전무는 “완성차 판매량이 줄면서 가뜩이나 경영 환경이 나빠졌는데 최저임금이 해마다 크게 올라 감당이 안 된다”며 “내년엔 2차 협력업체 중 70%가 최저임금을 주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런 와중에 주 52시간 근로제(근로시간 단축)가 시행되면서 그나마 주문을 받아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며 “많은 업체가 생존을 걱정한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발제를 맡은 전문가들이 자동차업계가 너무 노사 문제에 매몰됐다고 하는데 노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으니 그 문제에 집착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완성차업체를 대변하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도 같은 목소리가 나왔다. 김태년 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 “한국 자동차업계 근로자의 인건비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해마다 되풀이되는 노사 갈등 탓에 생산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자동차산업이 살아나려면 대대적인 노동개혁이 필요하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는 게 문제”라며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나온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한국 완성차업체의 생산량 감소는 불가피하며 전기자동차 시대가 오면 필요한 부품 수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며 “자동차 부품시장의 규모 축소는 불가피한 만큼 새로운 시장을 찾고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