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연봉 아닌 광주형 일자리 의미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미래硏 산업경쟁력포럼
광주시·현대차, 18일까지 협상키로
광주시·현대차, 18일까지 협상키로
고질적인 고비용·저효율 생산 구조를 깨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근본 취지가 변질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애초 광주광역시가 현대자동차에 제안했던 ‘반값 연봉’ 등의 전제 조건이 지역 노동계 요구로 사라지면서다. 본래 취지와 다른 완성차 공장 설립을 굳이 강행할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가미래연구원이 15일 서울 장충동 서울클럽에서 ‘자동차부품 산업의 글로벌 성장 전략’이라는 주제로 연 제35회 산업경쟁력포럼 세미나에서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연봉 3500만원짜리 광주형 일자리는 해당 지역 근로자에게는 괜찮은 일자리지만, 기득권을 쥔 다른 공장 근로자 입장에선 나쁜 일자리로 인식되고 있는 게 문제”라며 “광주형 일자리의 애초 취지와 조건이 바뀔 경우 현대차가 등 떠밀리듯 투자에 참여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적정 임금과 생산성을 담보하지 못하면 국내에 연 10만 대짜리 자동차 공장을 추가로 짓는 건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1대 주주는 광주시”라며 “국민 세금을 가져다 쓰는 사업인 만큼 광주시가 더 책임감을 갖고 노동계를 설득한 뒤 현대차와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지난 14일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협상을 벌였지만 임금 수준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양측은 오는 18일까지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장창민/광주=임동률 기자 cmjang@hankyung.com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연봉 3500만원짜리 광주형 일자리는 해당 지역 근로자에게는 괜찮은 일자리지만, 기득권을 쥔 다른 공장 근로자 입장에선 나쁜 일자리로 인식되고 있는 게 문제”라며 “광주형 일자리의 애초 취지와 조건이 바뀔 경우 현대차가 등 떠밀리듯 투자에 참여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적정 임금과 생산성을 담보하지 못하면 국내에 연 10만 대짜리 자동차 공장을 추가로 짓는 건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1대 주주는 광주시”라며 “국민 세금을 가져다 쓰는 사업인 만큼 광주시가 더 책임감을 갖고 노동계를 설득한 뒤 현대차와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지난 14일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협상을 벌였지만 임금 수준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양측은 오는 18일까지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장창민/광주=임동률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