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블랙리스트부터 유재수 감찰 무마까지' 김태우가 다 옳았다…남은 의혹 무엇?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은 의혹도 사실로 밝혀질까?
재조명 받는 김태우 폭로
의혹 모두 사실로 밝혀지면 정권에 치명타
재조명 받는 김태우 폭로
의혹 모두 사실로 밝혀지면 정권에 치명타

우선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은 지난 27일부터 본격적인 재판이 시작됐다.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은 현직 시절인 2017년 6월부터 다음해 11월까지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임원들의 명단을 만들어 동향을 파악하도록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신미숙 전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은 환경부 산하기관 인사선발 과정에서 청와대 내정 후보가 탈락하자 부처 관계자를 불러 경위를 추궁하는 등 부당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유재수 감찰 무마' 사건 역시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법원은 각종 범죄 혐의가 소명됐다며 어젯밤(27일)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유 전 부시장은 금융위원회 국장으로 재직할 당시 사모펀드 운용사 등으로부터 미국행 항공권과 자녀 유학 비용, 오피스텔, 골프채 등 각종 편의를 제공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김태우 전 검찰 수사관은 유 전 시장의 이 같은 비리 혐의를 청와대 특감반원 시절 포착했으나 조국 전 장관이 청와대 민정수석 재직 당시 감찰을 중단시켰다고 폭로했다.
박 비서관 뿐만 아니라 최근 청와대 전현직 인사들은 검찰 조사에서 '윗선 지시로 당시 감찰이 무마됐다'는 공통된 진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김 전 수사관 폭로 중 남은 의혹은 무엇이 있을까. 김 전 수사관은 이외에도 ▲청와대 민정수석실 내근 직원들의 출장비 횡령(국고손실) ▲흑산도공항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위원회 민간위원들 중 반대하는 민간위원 명단을 불법 수집하도록 지시(직권남용) ▲청와대 특별감찰반 동원해 민간인 사찰 ▲청와대가 드루킹 사건 수사 상황 파악 지시 등의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