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기관, 노래방서 성희롱…성폭력은 아니라는 장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하 기관은 코로나 와중에 노래방 회식
임이자 의원 "성인지 감수성 부족"
임이자 의원 "성인지 감수성 부족"

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올 6월 17일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인재개발원 A팀 B과장은 C사무관의 송별회를 위해 회식을 벌였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뤄지고 있었지만 팀원들과 함께 노래방에 갔고 도우미를 부르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성희롱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추후 환경부로 신고됐다.

조 장관은 "범죄 성립 여부는 여전히 수사 결과를 봐야 해서 자료에는 발생이 없다고 한 것으로 안다"며 "수사 결과를 본 뒤 처분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이것은 성희롱 사건"이라며 "성차별과 성추행, 성희롱은 성폭력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잘못된 답변을 내놓았다.
성추행과 성차별 역시 성폭력 범죄다. 형법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은 강제추행에 대한 처벌 규정을 담고 있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는 "차별이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성별, 혼인, 가족 안에서의 지위,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유 없이 채용 또는 근로의 조건을 다르게 하거나 그 밖의 불리한 조치를 하는 경우"라고 정의한다. 채용, 임금, 교육, 배치, 승진, 정년, 퇴직, 해고 등 일터에서 남녀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한다. 처벌 규정도 있다. 예컨대 사업주가 근로자의 정년·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사실을 인지하고 경찰에 직접 수사의뢰를 하는 등 사안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