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전면담 일단 무산...헌납재산규모/신변보장 견해큰차

정부여당이 전두환 전 대통령문제의 해결을 위해 추진했던 노태우대통령과 전 전대통령간의 빠른 시일내의 면담은 청와대와 연희동간의 입장차이로일단 무산됐다. 전 전대통령은 노대통령과의 면담과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해명사과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그 발표문안에 대해서는 청와대와 연희동간의 막후협의가있을것으로 알려져 당초 연희동측에서 비친 충격적인 독자선언의 내용은 아닐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여당은 전 전대통령의 해명사과후 그가 밝힌 재산에 대해 여야공동조사를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노대통령과 전 전대통령간의 관계는 앞으로 미묘해질 수도 있을 전망이어서 이로인해 여권내의 분위기 및 여야관계등 앞으로의 정국기류에 상당한 여파가 미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소식통은 16일 "노-전회담"에 이어 전 전대통령이 5공비리에대해 해명사과하고 다시 노대통령이 담화를 통해 정치적 해결을 국민에게 호소한다는 구상은 오늘의 상황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것 같다"고 말해 "노-전면담"을 위한 청와대와 연희동간의 협상이 막바지에서 난항을 겪고있음을 시사했다. 이 소식통은 그러나 "청와대와 연희동은 전 전대통령이 17일이나 가급적 빠른 시일, 될수 있으며 금주말까지는 어떤 형태로든 해명사과한다는데는 인식이 같다"고 말해 전 전대통령이 독자적으로 해명사과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있음을 암시했다. 그는 "전 전대통령이 자신의 재산상황을 공개하고 또 그중 일부를 헌납한다하더라도 국민들이 그것을 다 믿어주느냐 하는데에는 의문이 있다"고 전제,"재산상황 발표후 꼭 수사차원이 아니더라도 여야가 확인조사의 절차를 거쳐진실을 분명히 밝혀두어야 현정치권은 물론 전 전대통령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전 전대통령의 해명사과전에 "노-전면담"이 추진됐던것은 발표문안에 대한 협상 그리고 양쪽의 뜻에 맞았을 경우의 전 전대통령에 대한 신변보장의 순서로 갈것이라는 인식하에 이루어진 것인데 지금 중요한 것은 그런순서가 아니라 국민이 어떻게 납득하느냐에 달려 있다"면서"노대통령이 전전대통령을 보호해준다고 말할 수 있는 차원의 면담은 성사되지 않을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측이 "노-전면담"을 추진했다가 결국 전 전대통령의 독자적인 사과해명과 그에대한 여야의 조사착수로 방향을 선회한 것은 전 전대통령의 재산반납에 대한 이견과 신변보장에 대한 견해차이인 것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청와대측은 15일까지 연희동과의 막후접촉을 통해 "노-전면담"->전 전대통령의 해명사과->재산헌납의사 표명->노대통령의 사면호소담화 발표등의 방안을 제시하면서 특히 재산헌납과 관련해서는 전 전대통령이 자신의 대통령 퇴임후 국정자문회의 의장등 계속 정치전면에 있을때에 대비해 감추고 있던 돈까지 모두 내놓고 국민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전 전대통령측은 지난80년 대통령취임때 신고한 재산보다 다소 증식된 부분을 국민앞에 밝힐수 있으나 정치자금으로 숨겨둔 돈은 없다면서 특히 정부측이 해명사과와 재산헌납후 서울을 떠나라고 권유하고 있는 것은 사유재산인 연희동 집까지 내놓으란 뜻이어서 이에 반발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16일 오전 노대통령의 한 측근은 "노-전면담"없이 전 전대통령이 사실상 독자선언을 한다면 알려진대로 "폭탄선언"이 될 것이라는 질문에 "전전대통령이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폭탄선언"으로 알려진 내용이 노대통령의 6.29선언 전말 전전대통령의 정치자금 사용내용등일 것이라고 설명하고 "청와대는 6.29선언이 노대통령의 독자결심에 의한 것이라는 충분한 증거를 갖고 있으며 어느 정권치고 다소의 정치자금을 쓰지 않은 경우가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전 전대통령 또한 그런것을 밝혀 풍파를 일으키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