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수출이 잘된다...내년엔 10억달러 넘어설듯

지난86년을 고비로 서서히 회복세를 보여온 컨테이너수출이 매년 50%이상신장세를 기록, 내년에는 10억달러선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컨테이너수출은 올해 7억3,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돼 전년대비 70%이상의 높은 신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내년에는 10억7,000달러로 당분간 컨테이너수출이 호조를 보일것으로 예상된다. 이와같이 컨테이너 수출이 전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은 엔고이후 최대생산국이던 일본업계의 침체와 동남아를 비롯한 세계적인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등 외적환경요인에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지난 수년간의 불황속에서도 업계간 과당경쟁방지와 컨테이너 제값받기를 활발히 추진하는 한편 부가가치제품개발과 품질고급화,기술개발에 주력, 세계 총생산량의 40%이상을 점유하는 최대생산국으로 부상하고 냉동컨테이너등 특수컨테이너이외의 일반화물컨테이너의 100% 국산화성공으로 국제경쟁력을 강화해온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최근들어 중국 동남아개도국들이 추격을 해오고 있으나 주요부품을 일본 한국등지로부터 수입하는데다 품질면에서의 열위로 당분간 우리나라의 독주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달러화에 대한 급속한 원화절상 특히 주요선진국통화에대한 동반절상현상으로 국제경쟁력과 채산성에 있어서 상당한 원가부담이 되고있고 노사분규에 따른 생산감소 및 품질저하로 비가격경쟁력이 악화될 소지도 있다. 따라서 업계는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지속적인 수출신장을 이루기 위해 냉동컨테이너등 특수컨테이너에 대한 부단한 기술개발과 품질관리, 적기인도, 품질개선등 비가격 경쟁력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