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소련내 고르비 사임요구 보도

남북한간의 직교역이 이루어지면서 북한이 남한산 쌀의 대량 반입을추진함에 따라 앞으로 국내 양곡생산및 수급계획을 전면 재검토, 남북한주민에게 충분한 쌀을 공급할 수 있는 생산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의견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19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북한이 최근 국내산 쌀 50만톤(3백50만섬)의도입을 추진함으로써 현재 남아돌고 있는 정부재고미의 처리가 용이해진데다 앞으로 북한의 계속적인 수요및 남북교류진전 상황등을 감안할때남한인구만을 대상으로 하는 현재의 쌀 수급계획은 수정돼야 한다는것이다. 정부관계자들은 이와관련, 북한의 연간 쌀수요량 현재의 국내쌀생산 가능량 농지의 이용계획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해 장기적인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앞으로 남북교류가 더욱 진전되고 북한에 대한 쌀반출체제가정착될 경우 대체로 밭농사 위주인 북한의 연간 대남 쌀반입량은50만톤 가량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으며 만일 흉년이 들때는1백만톤도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 해마다 국내산 쌀을 도입해갈 경우 올해말 정부미재고 1천4백만섬으로 3년간은 충당할 수 있으나 그 이후에는 별도의대책수립이 불가피한 실정이라는 것이다. 이에따라 쌀의 증산을 위해 내년부터 수매를 중단할 계획인 통일벼계재배의 지속등 전반적인 농지이용계획에 대한 검토가 다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최근 북한의 국내산 쌀반입요구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친다하더라도 북한의 개방화추세에 따라 남북교류가 활성화될 수 밖에없고 긍극적인 통일을 전망할때 주곡의 수급계획에 대한 재검토가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