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3만명 유지...포드 미국방 부차관보

칼 포드 미국방부 수석부차관보는 7일 북한의 핵개발계획 완료가임박했다고 평가하고 북한 핵시설에 대해 특별사찰이나 저공정찰등에 의한강제사찰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포드부차관보는 이날 워싱턴 근교에서 열린 한미안보연구위원회세미나에 참석해 "북한이 좋아하든 않든간에 우리는 북한의 능력을평가하기 위한 강제적인 장치(INTRUSIVE MECHANISMS)를 필요로하고있다"고 밝혔다. 그는 "핵무기가 개발중에 있다는 미행정부의 결론에 관해서는 만약,그런데, 그러나 등의 접속사가 필요없다"고 말하고 "북한의 핵계획 완료에관한 정보는 비밀이 지만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강조하면서 이같이주장했다. 그는 이라크의 경우를 예로 들면서 "국제원자력기구에 의존하는것만으로 충분 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포드 차관보가 말한 강제적인 장치는 국제원자력기구규정상의 특별사찰시행이나 인공위성이 아니라 저공정찰에 의한 핵시설사찰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최근 내부변화 이후 소련은 미국의 이른바 저공정찰 (OPENSKY)활동에 관해 유연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말하고 이라크에 대한핵강제사찰 추진시 미국에 의한 저공정찰활동이 추진됐던 점을상기시켰다. 한편 포드차관보는 주한미군 문제에 언급,"장기적으로 우리는 공군력과지상기지에 중점을 두고 3만명정도로 병력주둔을 안정화 시킬것"이라고말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후에도 주둔하기를 원하며 이것은 지난7월노태우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을때 논의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