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철새 첫 `한강나들이'...가마우치 9마리 관찰돼

해안에서 서식하는 가마우지가 처음으로 한강에 나타났다. 산림청 임업연구원은 지난 1월 한달동안 한강 겨울철새 서식실태를 조사한 결과 행주산성 부근에서 가마우지 9마리가 관찰됐다고 2일 밝혔다. 한강에는 또 뿔논병아리(8마리) 큰고니(20마리) 검은등할미새(6마리) 등이 최근 3년여만에 처음 날아들었고 천연기념물로 201호 큰고니 외에 323호 황조롱이(3마리) 327호 원앙(29마리) 243호 흰꼬리수리(2마리) 등 4종54마리가 관찰됐다. 특히 흰꼬리수리는 멸종위기의 야생조류로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으로보호받는 희귀종이다. 임업연구원은 한강종합개발을 전후한 겨울철새의 분포를 비교분석한 결과 종합개발이전(80년)에는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부유 초식성 오리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개발직후(87년)에는 수심이 깊어지고 유속이 빨라져 흰죽지 댕기흰죽지등 잠수 어식성오리가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났다는 것.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는 오히려 그 반대현상이 일어나 부유 초식성오리는 늘고 잠수 어식성오리는 다시 감소추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원측은 한강의 겨울철새 도래를 위해서는 초식성 오리류의 주서식지인 밤섬을 절대 보존해야 하고 성산대교 하류 북쪽 고수부지에 작은 동산을 군데군데 만들어 번식처 및 채식지로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희귀종인 황오리의 주요 채식지인 행주산성 남쪽의 시금치밭이 개발에 밀려 파괴되지 않도록 철저한 보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