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새는 독립기념관 장마전 보수 난관...기념관-대림 맞서

본격적인 장마철의 도래를 앞두고 독립기념관전시과의 누수방지 공사가 시급한 실정이나 독립기념관 측은 누수원인을 시공회사에 미루고 시공회사인 대림산업측은 설계 잘못이라고 주장, 공사비 31억원의 부담을놓고 양측이 회피해 논란이 되고 있다. 독립기념관은 10일 대한 건축학회 조사단의 보고서를 토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 습도변화에 따른 고려가 미비해 옥상슬라브비스듬한 벽면 난간(파라페트)에 누수현상이 생기게 됐다"고 밝히면서 대림산업측 부담으로 우기기 닥쳐오기 전에 보수공사를 해주도록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림산업측은 누수의 근본원인이 `설계상의 잘못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하자보수 기간도 끝난 지금 보수비용을 부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림측은 10일 `독립기념관누수원인''자료를 통해 "문제의 전시관은 건축 외관설계를 중시해 안팎 공간이 복잡한데다 지붕위에 대형채광등천정을 설치해 건물자체의 변형을 초래했고 대형 건축물임에도 구조설계상 필요한 줄눈(조인트)을 설치하지 않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흡수할수 없어 균열이 생겼고 결과적으로 누수가 발생했다"면서 설계상의 문제이지 시공상의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양측의 주장에 감독관청인 문화체육부의 한 관계자는 대림측의 시공잘못에도 분명 원인이 있는 만큼 보수비를 부담하도록 설득해 나가겠다"고 밝히면서 "최악의 경우 법적 대응도 불가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누수원인에 대해 건축학회 조사보고서는 설계구조상의 완전 방수효과 부족 일부 방수시공 미흡 설계 시공기간 부족 등 설계시공 공사발주자의 복합적인 책임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