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 주부 급증...여성환자 전체의 7-8%

여성 알코올 중독자들이 늘고있다. 유흥업소 종사자들이 아닌 주부나 직장여성들 가운데 여성알코올 중독자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약 3년전부터. 여성들의 지위향상 및 사회의 개방화바람으로 여성들의 음주에 대해 사회가 관대해 짐에 따라 20대 초반 여성들이 술좌석을 갖는 횟수가 잦아진것이 우선 큰 원인. 그리고 이들이 결혼후 가정생활에 문제가 생겼을 때별다른 거부감없이 술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결국 알코올중독으로이어지게 된다는 것이 정신과 의사들의 분석이다. 국립정신병원의 김경빈박사는 "2,3년전만하더라도 여성알코올중독환자들은 거의 찾아볼수 없었지만 최근 매년 큰폭으로 증가, 전체 알코올중독환자의 7,8%를 차지하고 있고 수년내 미국의 25% 일본의 15%수준까지 육박할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민성길박사는 ''유흥업소종사자가 아닌 20~40대 주부들이 알코올중독증세로 남편과 함께 병원을 찾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알코올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세브란스병원에 한달간 입원하고 퇴원한 이모씨(29.주부)는 "대학을 다닐 때 친구들과 술을 여러 차례 마셨지만결혼 후에는 술좌석을 가질 기회가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작년부터 남편이 직장일로 밤늦게 집에 들어오는 날이 많아 무료한 시간을 보내려고 집에서 혼자서 술을 먹기 시작, 입원 직전에는 술을하루라고 입에 대지않으면 잠이 안오는 등 가정생활에 문제가 많아 남편과상의해서 병원을 찾게 됐다는 것. 사회생활 또는 가정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풀 길이 많은 직장여성들보다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방법이 적은 주부들 특히 이혼녀들 가운데 알코올중독환자들이 많다는 것이 정신과의사들의 설명. 서울대 정신과 이정근교수는 "대외적인 접촉이 적은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자신이 알코올중독에 빠져들고 있다는 사실을 모를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때문에 병원에 찾아오는 여성환자들의 경우 이미 치유가 불가능할 정도로 증세가 진행된 상태가 적지않다며 "사회가 발달할수록 늘어나는여성알코올중독환자들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