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핵 막판대응책 강구...한외무,미국무등 연쇄회담

한국과 미국은 대화에 의한 북한 핵문제 해결 가능성이 점차 희박해짐 에 따라 이번주중 워싱턴에서 두나라 고위 외교당국자들의 회동을 갖고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문제 등을 포함한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계 획이다. 한-미 정부가 북한 핵 대응책을 서두르게 된 것은 북한이 오는 21일 국제원자력기구 이사회 때까지 사찰을 수락할 것이란 신호가 없고, 이에 따라 원자력기구가 북한 핵문제를 유엔에 넘기는 상황이 예견되기 때문이다. 한승주 외무장관은 미 외교당국과의 협의를 위해 9일 오후 미국으로 출국했다. 한 장관은 워싱턴에서 워런 크리스토퍼 국무.윌리엄 페리 국방장관, 앤터니 레이크 백악관 안보보좌관 등 미 고위 외교.안보 당국자들과 연쇄적으로 접촉해 북한이 21일까지 사찰수락을 하지 않을 경우를 상정한 후속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 장관과 크리스토퍼 국무장관은 특히 북한 핵문제가 안보리로 넘겨지는경우, 이 문제의 처리 방향과 속도, 그리고 중국의 협력을 확보하는 방안등을 구체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미 외무장관은 북한 핵 문제의 유엔 이관과 안보리의 결의에서 파생될 한반도 위기 상황의 관리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는 21일까지 북한이 전면 사찰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북한 보유의 플루토늄이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되지 않고 있다는 확 신을 할 수 없으며 북한의 사찰의무 불이행이 이전보다 확대됐다는 결 의안을 통과시킨 뒤, 이 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보고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