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옛문화 노래 시집 2권 "눈길"..'벌레시인'/'박수를..'

자연과 옛문화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시집 두권이 나란히 출간됐다. 이성선씨(53)의 "벌레시인"과 이승하씨(34)의 "박수를 찾아서"가 화제의 시집. 두 시인은 섬세한 미적감각으로 자연과 인간의 원형을 탐구하고있다. 이성선씨는 70년 "문화비평"으로 등단한 이래 "하늘문 두드리며" "몸은지상에 묶여도" "새벽꽃 향기"등의 작품집을 통해 자연을 서정적으로 표현하는 전통적인 시창작방법을 꾸준히 지켜온 시인. 이성선씨는 이번 시집에서 물질문명이 가져온 오염된 현실에 대한 상실감을조화로운 자연의 세계에 대한 그리움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산기슭/시간의 꼭지들이 산과일을 떨구며 구름의 음악소리를 내던 곳/그소리 들으며 소에게 밥을 권하던 늙은이도 이사를 갔다/여위어가는 밤나무아래 가난한 점쟁이집도 허물어졌다/늘어난 폐가/폐가 지붕위에 밤에는 늦달이 앉아 자살하는 모습도 보기 싫다/산은 밤에 울고 있다"("물을 들여다보며"중에서) 이승하씨의 다섯번째 시집 "박수를 찾아서"는 고대이래 한국인이 공유해온 집단무의식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한 시들을 담고있다. "님을 생각하기만 하면/양볼이 달아오르는 것을/전들 어떻게 할수가 없습니다/가슴 점점 뜨겁게 달아올라/이 더러운 몸이,목숨이/끝내는 불붙고 싶은 것을/전들 어떻게 할수가 없습니다"("불귀를 위하여"중에서)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다 "마음속의 불이 자신의 몸을 태워 불귀신이 되었다"는 설화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이승하씨는 "삼국유사"에 실린 설화와 뱃노래, 자인팔광대, 북청사자놀음등 민속놀이를 통해 한국인의 영혼과 원형적 삶의 진실을 추구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16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