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표, 전년동기비로 바뀐다..80년대 '전년말대비' 종언
입력
수정
물가상승률지표가 내년부터 전년말대비에서 전년동기대비로 바뀐다. 따라서 앞으로 "물가가 지난해말보다 몇 %올랐다"는 표현대신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몇% 상승했다"는 식으로 쓰게된다. 그동안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는 80년이전에는 주로 전년동기대비로 사용해왔으나 전두환대통령이 취임한 80년부터 전년말 대비를 주로 써왔다. 이처럼 전년말 대비를 쓴 이유는 물가를 통치지표로 이용키 위한 것이었다. 예컨대 올해 물가관리목표가 5%인데 6월말 현재 전년말대비 2% 올랐다면 앞으로 3%나 남았다고 얘기할 수 있고 그만큼 물가관리를 잘 했다는평가를 내릴 수도 있었다. 물가도 군사작전이나 건축공사하듯이 진도관리를 해왔다는 얘기다. 따라서 물가상승률은 대통령의 통치지표로 활용돼 왔다. 여기다 물가장관의 연간치적으로도 유용했다. 대개 개각이 연말이면 으레 있어왔기 때문에 경제기획원장관은 자기가 재임한 한해동안 물가를 몇%로 안정시켰다고 자랑할 수 있었다. 물가상승률을 전년말대비로 쓰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가 힘들다는게 기획원관계자들의 얘기다. 따라서 물가상승률지표를 전년말대비에서 전년동기대비로 바꾼다는 것은 통치지표로서 물가에 종언을 고한다는 의미도 있다. 기획원은 지난 80년이후 올해까지 전년말대비상승률이나 연평균상승률은 연도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큰 편차가 없다고 밝혔다. 이렇게 물가지표를 바꾸면 전년말대비 기준을 사용하는 경제성장률 통화증가율 수출증가율등 다른 경제지표와 비교가 가능해 지고 국제비교도 용이해지는잇점이 있다. 또 물가변동에 따라 국민의 생활비부담증가를 정확히 측정하기 쉽고 물가는늘상 오르기만 한다는 인플레심리를 진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처럼 지표를 바꿈으로서 정부의 물가관리에 대한 국민의 비판을 누그려뜨리려는 의도가 숨어있다고도 볼 수있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