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도 `라이선스팩' 형태 컴퓨터 유통 활기

국내에서도 일정 규모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소프트웨어 사용권을 허락하는 "라이선스 팩" 형태의 컴퓨터 유통이 활기를 띠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영남대학교 등에서 잇따라 교육용 라이선스 공급계약을 맺는등 단품위주의 소프트웨어 판매이외에 라이선스 유통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KAIST는 최근 전산관련 교수는 물론 일반 학생들도 "포트란" "비주얼 C+"등의 프로그램 언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 공급계약을 맺었다. 영남대학교는 최근 선경유통을 통해 미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베이직" "오피스" "액세스"등의 프로그램을 대학과 관련 연구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라이선스 공급은 일반 단품 형태의 패키지 판매방식과는 달리 사용자수에 따른 일괄 계약으로 학교및 연구기관에서 저렴하게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있도록 한다. 이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및 공급업체들은 제작원가를 줄이면서도 프로그램 교육등 사용자 지원을 충실히 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프로그램 수량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최근들어 국내에서도 그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선경유통은 교육용 소프트웨어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앞으로 교육기관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교육용 라이선스 팩 공급 사업을 적극 펼쳐나가기로 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3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