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특집] 인터뷰 : 서사현 <통산부 생활공업국장>

"오는 6월말로 직물 합리화 기간이 끝나더라도 업계의 과잉 신.증설을 막을 수 있는 보완대책은 적극 강구할 작정입니다" 서사현통상산업부 생활공업국장은 직물합리화 지정기간 만료와 관련,지난 9년동안의 합리화의 성과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직물합리화에 대해 성공여부를 평가한다면. "합리화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고 본다. 정부는 지난 86년 직물이 합리화 업종으로 지정된 이래 설비자동화등에 2천7백억원을 지원했다. 이기간중 6만8천대의 신직기가 설치된 대신 14만9천대의 기존 낡은 직기가 폐기됐다. 8만여대의 직기시설이 감축되는 합리화가 이뤄진 것이다. 이에 따라 합리화 지정 당시 25억달러에 그쳤던 직물수출은 연평균 17%이상씩 신장해 지난해엔 88억달러에 달했다. 원사를 포함하면 1백억달러를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괄목할 만한 수출증가가 합리화의 성과를 대변해준다고 본다" -합리화 기간을 좀더 연장해야 한다는 업계의 요구가 많은데. "최근들어 중국이나 홍콩등지로의 직물수출이 답보상태인데다 향후 전망도 불투명해 합리화를 당장 풀어버리면 국내 직물산업이 다시 스러질 것이라는 업계의 지적이 많다. 또 무분별한 설비 신.증설등 과당경쟁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이러한 모든 상황을 감안해 합리화 기간의 연장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조만간 결론을 내릴 것이다" -설령 합리화 연장은 안되더라도 뭔가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물론이다. 구조조정이 지속되도록 설비 증설을 억제할 수 있는 보완대책을 강구할 것이다. 예컨대 업계가 계속 유지할 것을 요청하고 있는 "직기 등록제"등이 대안으로 검토될 수 있다" -직물산업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은. "직물은 다른 섬유분야와 달리 자동화가 가능한 부문이다. 구조조정의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업종이란 얘기다. 게다가 직물수출은 현재도 전체 섬유수출의 50%를 차지하는등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구조조정만 효과적으로 이어진다면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업종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