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상품 차별화 의미 퇴색..회사채간 수익률차 거의 없어

최근들어 은행보증채 기타보증채 무보증채등 회사채간의 수익률 차이(스프레드)가 현저히 줄어들어 채권상품차별화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기타보증채는 은행보증채에 대해 0.05%포인트 높은 선에서,무보증채도 기타보증채보다 0.05%포인트 웃도는 수익률이 형성돼왔으나 최근에는 이같은 차이가 0.03%포인트정도에 머물러 있거나 아예 차이가 없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15일 발행된 영일화학 은행보증채 20억원어치는 연14.97%,한보철강 은행보증채는 연15.0%에 거래가 형성됐다. 이날 동성화학 기타보증채 1백억원어치는 연15.0%,동부제강 기타보증채는(3백억원)연14.98~99%에 유공 무보증채 (3백20억원)가 연15.03%에 소화돼 회사채간의 스프레드가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띠었다. 17일에도 한화기계 은행보증채 (2백억원)는 연14.90%와 14.944%사이에서 물량이 오가고 코리아다이아몬드 은행보증채 (8억원)어치가 연14.90%에 투신이 가져갔는데 현재상선 기타보증채 (45억원어치)는 연14.93%에 소화됐다. 18일에는 동양맥주 은행보증채 (3백억원)가 연14.88%,오뚜기라면 기타보증채 (20억원)가 연14.95%로 수익률 차이가 상당히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경기화학 (20억원) 조양상선 17억원등의 은행보증채는 연14.90%,동방유랑 태일정밀 성창기업 삼표산업등이 발행한 대부분의 기타보증채는연14.92%와 연14.93%사이에서 수익률이 결정됐다. 채권관계자들은 이같이 수익률 차이가 줄어드는것에 대해 "기관들이 요즘들어 은행보증만을 굳이 고집하지 않는데다 같은 보증조건하에서 기타보증채의 수익률이 높아 고수익률 채권쪽으로 수요가 옮아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5월 20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