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브랜드 가진 농산물 인기

녹색선물 디자이너에그 찬마루두부 등 고유의 브랜드를 가진 농산물이 인기를 끌고 있다. 주로 대규모 기업농에 의해 주도되는 브랜드농산물은 유기농산물 등 고급제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와 다른 농산물과의 차별화를 통해 높은 수익을 보장받으려는 생산업계의 의도가 맞아 떨어지며 더욱 늘어나는 추세다. 현재 브랜드화가 가장 활발한 상품은 달걀.퓨리나코리아의 "첵커슈퍼란"과 "디자이너에그" 계림축산의 "위생란" 중수축산의 "소백산인삼란" 노들농장의 "오메가란" 등 시중에서 유통되는 브랜드달걀은 20여가지에 이른다. 이제품들은 암닭을 해조류 등 특수사료로 키워내 콜레스테롤이 적다거나 두뇌개발에 좋다는 등 저마다의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브랜드달걀은 10개들이가 1천1백50-4천원으로 일반 달걀보다 비싼데도 불구하고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브랜드화 바람은 야채에서도 불고 있다. 풀무원이 유기농케일 작은키콩나물 등과 찬마루두부를 내놓은데 이어 서울농대 출신들이 만든 한풀이 "녹색선물"이란 브랜드로 케일 상추 깻잎 쑥갓 등을 판매하고 있다. 또 대연농원이 "권순헌"이란 브랜드로 케일 신선초 청경채 등을 두아농산이 콩나물을 내놓고 있다. 브랜드야채 역시 한결같이 유기농 재배방식과 건강상품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는데 한양잠실점의 경우 브랜드야채만으로 월간 2천3백만-2천5백만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한양유통 기획조사팀의 손재우씨는 "다소 비싸더라도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을 사려는게 요즘 소비자들의 추세"라며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 실시 이후 1차식품에서도 브랜드화가 유행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27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