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경제전망] (국내경제) 금융시장 자금동향은...
입력
수정
지난 95년 금융시장은 "실세금리의 하향 안정화"란 한마디로 요약할수있는 한해였다. 연초 연 15%대의 높은 수준을 나타냈던 회사채 유통수익률 (3년만기기준)이 연말에는 연1 1%대로 까지 낮아졌다는 점에서다. 지난해 금리가 떨어진 것은 하반기이후 기업들의 투자감소로 인해 자금수요가 급격히 꺾인게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물가안정세가 이어지면서 통화의 신축적공급이 가능했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돈의 수요는 줄고 공급은 충분하니 돈값인 금리가 떨어진 셈이다. 올해도 금리의 하향안정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장기채권금리는 이미 "한자리수"로 진입한 상황이다. 관심사는 올해안에 실세금리가 연10%대로 떨어질수 있을까에 모아진다. 금융권에선 연10%의 실세금리는 아직 이르다는 견해가 많다. 올해 예상되는 경제성장률 (7.4%)과 물가상승률 (4.8%)을 고려하면 연 12%가 적정선 아니냐는 지적이다. 연구기관들도 올해 실세금리가 "연11~12%"선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금융연구원과 삼성경제연구소가 각각 연평균 금리를 연 11.72%,11.93%로 연 11%대 후반으로 예측했고 제일경제연구소와 대우경제연구소는 각각 연 12.10%와 연 12.15%로 연 12%대 초반을 예상했다. 그러나 지난 연말 금리가 예상밖으로 수직하락하는 양상을 보인 만큼 이런 전망치는 좀더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금리가 하향안정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은 것은 경기연착륙에 대한 기대때문이다. 경기가 꺾이면서 지난해 17.0%의 증가율을 기록했던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올해 7.2% (한국은행 전망) 수준으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의 자금수요가 크게 줄어들어 금융시장의 "수요압박"은 크지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수요압박이 크지않은 만큼 통화당국의 "공급여력"은 다소 여유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통화당국은 올해 총통화 (M2) 증가율의 연간 목표 범위대를 11~15%대로 잡아놓고 있다. 지난해의 목표범위대 (12~16%)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자금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많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올해는 자본자유화 확대로 해외자본 유입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게다가 4월 국회의원선거가 예정돼 있는 등 예년에 비해 물가불안 요인이 많다. 그런데도 통화당국이 통화공급목표를 여유있게 잡는 것은 경기에 대한 불안 때문이다. 경기하강이 예상되는 마당에 통화관리를 강화할 경우 자칫 경기가 급락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에서다. 물론 물가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물가가 오르면 경기연착륙도 기대하기 힘들다. 버블현상만 남을 뿐이다. 따라서 통화당국으로선 "금리안정"만을 추구할 수 없는게 현실이기도 하다. 금리와 물가를 동시에 잡으려는 통화당국의 줄타기가 어느정도 벌어질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렇게되면 가장 먼저 민간신용이 억제될 것이고 결국 풍부한 시중자금사정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과 가계는 은행대출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자금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금리전망을 분기별로 살펴보면 연구기관들은 대체로 1.4분기에 하향안정세를 보인뒤 2.4분기에는 총선과 계절적인 자금수요, 그리고 내수증가에 따른 물가상승압력으로 소폭 반등했다가 3.4분기이후 다시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부터 실시되는 종합과세로 금리의 "장저단고" 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종합과세를 회피하려는 자금이 만기 5년이상의 장기채권이나 이 채권을 편입한 상품들로 몰리는 경향이 뚜렷해 장기채권의 수익률 하락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탓이다. 최근들어 실세금리 하락으로 은행들은 상당한 대출금리 인하 압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은 올해도 대출금리를 과감히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금리자유화와 금융소득종합과세 영향으로 금리의 변동폭이 커지는 등 금리위험도가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다. 금리하락추세가 상당기간 이어질 경우 우선 우량기업에 적용하는 프라임레이트부터 가산금리조정 형식으로 내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초부터 주로 콜금리에 연동되기 시작한 당좌대출금리는 크게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종합과세로 인해 금리의 "장저단고"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단기금리인 콜금리가 쉽게 꺾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