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로 후송되는 환자중 위급환자는 10%

병원 응급실에 후송되는 환자 10명중 9명이 위급한 환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에 의뢰,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전국의 응급의료센터 등 3백4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응급의료체계 운영실태를 조사,27일 공개한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응급실 후송환자중 88.3%가 "중증도 분류지표"에서 정상으로 평가됐다. 또 후송환자 가운데 실제 입원치료까지 받은 경우는 10명중 2명에 불과한것으로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지표는 생체징후를 나타내는 혈압과 맥박수 및 의식상태 등을 9점만점으로 점수화한 것으로 9점은 정상이며,점수가 낮을수록 증세가 심한것을 나타낸다. 의료관리연구원측은 심근경색환자의 경우 맥박과 호흡은 정상이어서 분류지표상으로는 높은 점수를 받는등 예외적인 경우도 있으나 9점 만점은 대부분 증세가 가벼운 환자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응급실 후송환자 가운데 중증환자나 전문적 처치가 필요한 환자들의 비율이 적어 후송환자중 실제 병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비율은 22.9%에불과했다. 한편 대학병원 등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지정,운영중인 응급의료센터의 경우 해당 지역의 모든 응급환자를 진료할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도 다른곳으로 후송하는 경우가 연간 4백20명에 달했다. 후송 이유는 중환자실이나 전문의부족등 병원측 사정으로 인한 경우가 58.8%를 차지했다. 일반 병.의원이 대학병원등 3차병원으로 응급환자를 후송,진료를 의뢰할때 사전에 상대 병원에 연락을 취하는 경우는 22.9%에 불과했다. 또 진료의뢰서를 함께 보내는 경우는 71.5%였으며,응급촬영 방사선 필름은 69.8%,각종 임상병리 검사결과는 90.9%를 보내지 않아 도착병원에서 다시 검사를 실시하는등 시간과 경비를 낭비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더욱이 다른 병원으로 응급환자를 후송하면서도 앰뷸런스에 의사나 간호사등 전문 의료인력을 동승시키는 경우는 전체의 11.5%에 지나지 않았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8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