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승진/외부영입"..금융계 서울은행 위상/후임행장 궁금
입력
수정
손홍균 서울은행장이 22일 전격 구속됨에 따라 후임행장은 물론 향후 서울은행의 위상에 대해 금융계가 궁금해하고 있다. 특히 서울은행이 합병대상 1호가 되는 것 아니냐는 다소 성급한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서울은행이 어쩌다 역대행장이 줄줄이 중도하차 하기에까지 이르렀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현재로선 손행장의 후임이 누가 될 것인지가 적극적으로 거론되지는 않고 있다. 금융당국은 물론 서울은행에서도 일단 내년 주총때까지는 후임행장을 선임하지 않고 장만화 전무의 행장대행체제로 끌어간다는 방침을 정하고 있다. 그뒤 내년주총때 새로 도입되는 비상임이사회에서 후임행장을 선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로선 차기행장으로 장전무가 유력한 것으로 꼽히고 있다. 아무래도 은행내부사정을 잘 알고 은행에서 뼈가 굵은 사람이 행장이 돼야만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할수 있다는 내부의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서울은행장 3명이 연속해서 중도퇴진한데다 서울은행이 고질적인 내분에 시달리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능력있는 외부의 제3자가 행장으로 취임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일부 서울은행 직원조차 "서울은행이 끊임없는 내분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구조적인 문제에 따른 것"이라며 "이 문제의 생성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있는 현재의 임원들이 난국을 극복하기는 역부족인 만큼 능력있는 외부인사가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을 정도다. 이 경우 전현직 한국은행 임원들이 우선 꼽히고 있다. .서울은행의 경영실적이 좀처럼 개선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다 김준협 행장과 김영석 행장에 이어 손행장마저 중도하차하자 서울은행이 최우선적인 합병대상으로 급격히 떠오르고 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정부가 고용조정제 도입을 강행하면서까지 금융산업 구조조정법을 개정하려고 하는 것은 그만큼 합병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며 "오랫동안 경영부진과 내부잡음에 시달리고 있는 서울은행의 경우 차라리 우량은행에 합병시키는데 더 나을수도 있다"고 말했다. 금융계의 다른 관계자는 "정부의 구조조정법은 부실금융기관에 대해 정부가합병이나 폐쇄를 명령할수 있도록 한게 골자"라며 "서울은행의 경영이 호전될기미가 보이지 않으면 합병명령을 받는 첫번째 대상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말 현재 서울은행은 총자산 29조9,590억원(자기자본 1조3,028억원)에 부실여신 5,611억원(부실여신비율 2.7%)을 기록하고 있다. 2년연속 배당을 하지 못했으며 지난 상반기에도 69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다른 은행과는 달리 유독 서울은행에 내분과 투서가 끊이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금융계에선 서울은행의 내분이 지난 76년 서울은행과 한국신탁은행의 합병때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질적인 두 은행이 합병함에 따라 뿌리가 다른 "이해상충집단"이 생겼고 이 흐름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과거 서울은행 출신이 행장이 되면 신탁은행 출신이 손해를 보고 반대로 신탁은행 출신이 행장이 되면 서울은행 출신이 피해를 입는 관행이 여전하다는게 대다수 관계자들의 얘기다. 여기에 최근 은행장이 된 사람의 경우 그 "과정"이 순탄하지 못했다는 점도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만장일치로 행장이 되기 보다는 치열한 "힘겨루기" 끝에 행장이 되다보니 반대파도 많이 생겨났고 이들에 의한 투서가 끊이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