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영수회담] "명분...실리...냉담"..청와대/여야 표정
입력
수정
.청와대는 21일 영수회담을 통해 김영삼대통령이 예상보다 큰폭으로 야당의 요구를 수용했다고 지적, 야당도 이제는 대화에 응해야 한다는 반응이 지배적.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노동법은 물론 안기부법등 무엇이든지 국회에서 다시 논의할수 있다고 밝힌 것은 여권의 대화의지를 그대로 나타낸 것"이라고 강조. 이관계자는 특히 "김대통령이 불법 파업주동자에 대한 영장집행을 유예하겠다고 얘기할줄은 몰랐다"며 "김대통령이 야당에 줄것은 모두 준 셈"이라고 역설. 이관계자는 또 야당의 노동법및 안기부법 원천 무효화주장에 대해 "일단 국회에서 모든 것을 논의해야할 것"이라며 야당에 선대화노력을 주문. .신한국당 이홍구대표는 이날 회담을 마치고 당사에 도착, 야당총재들이노동법및 안기부법등의 원천무효를 촉구한데 대해 "지난번 단독처리는 대단히 안타까운 과정이기는 하나 적법한 절차를 거쳐 처리된만큼 야당의 원천무효 입장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거듭 피력. 이대표는 이어 "두총재는 국민의 기대가 무엇인지 생각해서 국회에 개정안을 제출, 합의 처리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부연. 이대표는 또 "김영삼대통령은 국회를 어떤 식으로든 가동해야 하며 그방식은 여야 합의에 맡기겠으며 특위나 위원회를 가동, 문제되는 노동법 개정안을 3당이 심의 처리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고 설명. 이대표는 "김대통령은 김대중총재가 차기 대선에서 대통령의 엄정 중립을 요구한데 대해 노태우씨처럼 탈당하기보다는 미국처럼 대통령이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게 민주정치에 도움이 된다며 거부입장을 밝혔다"고 전하기도. .국민회의는 영수회담결과를 놓고 "부분적으로 진전된 결과가 있었다"고평가했으나 자민련의 결렬주장 소식을 접하자 "여당이 날치기 처리가 불법무효임을 전제하지 않을 경우 총무회담에 응하지 않겠다"며 갑자기 강경입장으로 선회. 김대중총재는 영수회담을 마친후 당사로 돌아와 비교적 만족스런 표정을 지으며 한때 "완전합의는 못봤지만 중요한 진전은 있었다"고 소개. 김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시내 서교호텔에서 조세형총재권한대행 한광옥총장 박상천총무 정동채비서실장 등과 구수회의에서 조율한 "대통령에게 드리는 말씀"을 토대로 김영삼대통령에게 당의 입장을 전달했다고 설명. 김총재는 "김대통령이 합의를 보려고 적극적인 편"이었다며 김대통령의 태도를 두번에 걸쳐 강조했으나 김대통령이 날치기법의 원천 무효를 주장하는 야당의 입장에 대해서는 "국회에서 풀자"는 얘기만 되풀이 했다고 전언. 김총재는 안경을 쓴채 회담내용을 소개하다가 배석한 정동영대변인이 카메라기자를 위해 안경을 벗어달라고 부탁하자 "안경을 벗으면 글씨가 안보이는데..."라고 말하는 등 대체로 여유있는 모습. 김총재는 이날 회담에서 "많은 토론을 했다"고 표현했으며 야당의원빼내가기 정치자금수수문제 부분에서는 김대통령과 두 야당총재간의 시각차가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기도. 정동영대변인은 "영수회담에서 한때 국회법을 무시한 "불법문제"까지 국회에서 논의하는게 좋겠다고 김대통령이 밝힌데 유의하고 있다"며 "신한국당 이홍구대표가 "불법이라고 하면 안된다"고 해 문제가 매듭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제는 청와대가 날치기가 불법인지 아닌지를대답할 순서"라고 언급. .자민련 김종필총재는 영수회담후 당사로 돌아와 시종 어두운 표정으로 "결론이 없어 가슴아프다"며 고위당직자들을 대면. 박철언부총재 등 고위당직자들도 이에 "할 말이 없다"며 침통해 했고 이정무총무는 김총재의 기자회견도중 지하강당천장을 향한채 눈을 감고 가끔 한숨. 안택수대변인은 청와대측이 영수회담결과를 악용, 야당이 국회논의를 거부하고 있다는 쪽으로 여론몰이를 할 가능성이 높다며 경계를 늦추지 않는한편 국민회의측이 다소의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한데 대해서도 보도진에게 "총재의 코멘트로 "결렬"이라는 말을 써도 된다"며 선명성을 강조. 자민련당직자들은 "김대통령의 말한마디 한마디가 독선과 독단, 오만으로 가득차 있음을 느낄수 있다"며 "앞으로 남은 1년이 참으로 힘들 것"이라고 걱정. 이들은 특히 이구동성으로 "김대통령이 민심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며 "대통령을 보좌하는 사람들의 잘못이 크다"고 지적.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