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재산관리인 진념/박제혁씨 추천] "조기 해결" .. 배경
입력
수정
산업은행이 기아자동차 재산보전관리인에 진념 전노동부장관과 박제혁사장을 추천키로 한 가장 큰 배경은 조기정상화로 여겨진다. 법정관리로 인한 조합원의 갈등이나 동요를 빠른 시간내에 봉합시키는 데에 최적이라는 분석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법정관리 신청이후 기아차 보전관리인 외부영입 대상에는 수십명이 거론돼왔다. 실무를 총괄해온 산업은행의 박상배 기아그룹전담팀장도 "영입대상에 최종 선정된 인사가 모두 10명"이라고 말할 정도. 그야말로 다양한 선택이 존재했던 셈으로 신중을 거듭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산업은행이 진전장관을 외부영입인사로 택하기 까지에는 정부와도 어느정도 교감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진전장관은 전북출신으로 김선홍 전회장과 지연이 있고 노동계에서도 호감을갖는 인물이라는 강점을 보유해 보전관리인에 적격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지적이다. 기아자동차가 정상화되기까지 노조와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관건임을 감안하면 이 분석은 더욱 설득력을 얻는다. 내부인사로 박사장이 추천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고 있다. 박사장의 경우 현직에 있어 업무상황에 누구보다 밝고 김전회장과 매우 가까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만약 앞으로 노조가 법정관리를 둘러싸고 대립을 벌일 때 해결사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보전관리인과 관련, 3명체제가 거론됐으나 2명체제로 최종 결론이 났다. 보전관리인이 너무 많을 경우 여러모로 모양새가 안좋을 수 있는데다가 향후 파견될 자금관리단이 채권은행 입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는 판단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따라 보전관리인 역할은 산업은행이 파견할 부장급 채권관리단장(단원 12명)이 떠맡게 됐다. 금융계는 재산보전관리인 추천작업 총대를 산업은행이 떠맡은데 대해 기아자동차 사태를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해석하고 있다. 정부 입김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권은행이 독자적으로 결정하지 않았을 때엔 의혹설이 여전할 것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아무튼 기아그룹은 진전장관이 그룹회장을 맡고 박사장이 자동차경영을전담하는 체제로 정상화에 시동을 걸게 됐다. 이들을 보전관리인으로 추천키로 한데서도 알수 있듯 새 경영자와 기존경영자간의 호흡, 보전 관리인과 노조간의 융화여부가 정상화의 속도를가름지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