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대우 '준법정관리'] '대우 망한 4가지 이유'

이헌재 금감위원장은 24일 (주)대우 법정관리에 대해 "모든게 여의치 않으면 법정관리에 들어갈 준비와 각오가 됐다는 것이지 정부가 적극적으로몰고 가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해외채권단도 최악의 상황으로 가진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그는 대우 주력계열사의 워크아웃이 1~2주정도 늦어지겠지만 기다릴 만큼 기다렸고 더 끌 사안도 아니라고 강조했다. (주)대우가 법정관리로 가도 다른 계열사들은 영향이 없으며 당초 워크아웃방안대로 건설과 무역을 분리하고 나머지를 배드컴퍼니로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해외채권단에 대해 손실률만큼 원금을 탕감한 후 조기상환해주는 바이아웃(Buy-out)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위원장은 대우사태가 준 교훈을 네 가지로 요약했다. 첫째 당사자 손해없이 부채인수방식의 부실기업 정리는 한계가 있다는 점. 대우는 부실기업 인수에 손을 든 대신 종잣돈을 요구해 덩치를 키웠다. 새한자동차(현 대우자동차)와 한국기계(대우중공업)를 대우에 넘겼던 산업은행이 20년뒤 이들 회사를 다시 떠안게 된 것은 아이러니고 부메랑 효과인 셈이다. 둘째 "시장이 말한다(Market Talks)"는 점. 시장에서 신용을 의심받게된 기업은 살아남기 어렵다. 구미기업이 끊임없이 IR(기업설명회)를 벌이고 컨설턴트를 고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2년전 현대의 제철사업, 동부의 반도체사업은 다행히 중단됐지만 시장 인증을 받지 않은 대표적인 사례다. 삼성차도 결론이 같다. 셋째 자산가치에 대한 미련을 버려라. 개방경제시대에 인플레는 기대할 수 없다. 수익없이 자산만 늘리면 기형아가 나온다. 포철이 한보철강을 2조원에 인수의사를 밝히자 모두 공짜로 먹는다고 비난했지만 지금은 6천억원에도 안 팔린다. 넷째 투명성의 딜레마.대우가 작년에 미국 GM사와 자동차 매각협상을 벌일때 잘못된 것을 고백하고 임했으면 이렇게 파국을 맞이하진 않았을 것이다. 대우 같은 문제가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문제가 있을 때 바로 들춰내 해결해야 한다는게 이 위원장의 지론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