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위기증후군' 관련 심층분석 돋보여
입력
수정
지난주 화두는 금융구조조정과 관련한 공적자금과 "제2위기론"에 관한 논란으로 집약됐다.
16일자 머리기사인 공적자금 추가 조성 안내와 수요일자 공적자금 갈등 증폭기사도 헤드라인을 장식했다.우선 16일자 머리기사의 중요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공적자금에 관한 독자들의 관심은 앞으로 더 들어가야 할 공적자금의 규모와 그 사용처, 그리고 지금까지의 공적자금 투입 효과 등에 있고 그 조성 방법에 대한 관심은 부차적이다.
17일자 머리기사도 결국은 경제팀의 불협화음을 센세이셔널하게 확대경으로 비춘 것에 지나지 않는다.공적자금과 관련한 이슈는 수요 예측과 효과 평가에 관한 경제적인 이슈와 조성 및 사용에 대한 투명성 등 비경제적인 이슈가 있는데 오히려 경제적인 이슈들이 독자들에게는 더 궁금한 사안일 것이다.
16일자 인니발 아시아 경제위기 재발기사는 제2위기설이 표면화되는 시점에서 동남아의 외환 및 경제위기는 피안의 불구경이 될 수 없고 따라서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통화가치와 주가 추이 비교를 통해서 동남아 위기의 가능성을 분석한 것이 독자들의 관심과 이해를 돕고 있으며 한국 상황을 재조명한 분석도 돋보였다.18일자 1면, 3면, 7면에 걸쳐 게재한 "위기 증후군"에 대한 기사도 인상적이었다.
정부가 위기징후 타개를 위한 뚜렷한 정책비전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과 "위기 증후군"과 관련해 여러 측면에서 원인과 처방,대책까지 내놓아 심층분석의 전형을 보여 줬다.
민간연구소와 학계 전문가들은 2차 금융구조조정 등 경제현안 해결이 지체될 경우 실물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최근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은 지난 97년9~11월에 일어났던 상황과 비슷한 점이 많다.
흔들리고 있는 리더십이 확립돼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내놓지 못하면 또다시 "IMF 위기"에 빠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날 기사는 이런 위기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사전 경고음으로 시의적절했다고 본다.
19일과 20일 기사는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증시와 그에 따른 정부 대책 기사가 비중 있게 다뤄졌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미국의 금리인상을 계기로 한국의 저금리정책에 대한 심층분석이 이뤄졌어야 한다는 점이다.
"IMF 위기" 이후 1차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후 정부의 저금리정책이 지나치게 비탄력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업구조조정을 위해 저금리정책은 불가피한 것이었지만 시장기능을 지나치게 무시할 경우 개인대출의 증가와 일부 계층의 과소비 등 도덕적 해이를 양산할 수 있다.
또 금융기관의 수익구조를 악화시켜 금융위기의 한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지나치게 시장기능이 무시된 정부의 저금리정책이 타당한 것인지 여부를 전문가들의 시각을 통해 짚어야 했다.
지난 17일자 SK(주) 최태원 회장의 KAIST 강연에 관한 기사를 다루면서 "위기대응에는 오너체제가 유리"라고 제목 처리한 점은 아쉽다.
이날 최 회장의 발언은 그가 재벌 오너이면서도 "반재벌-친벤처" 발언을 해 화제가 된 것이다.
발언의 취지는 벤처 기업인에 대한 칭찬과 함께 재벌 소멸론에 대한 그의 생각을 비교적 솔직하게 털어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너십이 위기에 처했을 때 전문경영인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강조한 것은 CEO의 트레이닝 과정 부족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었다.이렇게 볼 때 "위기대응에는 오너체제가 유리"라는 제목은 이날 강연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kb-kim@ mastercard.com
16일자 머리기사인 공적자금 추가 조성 안내와 수요일자 공적자금 갈등 증폭기사도 헤드라인을 장식했다.우선 16일자 머리기사의 중요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공적자금에 관한 독자들의 관심은 앞으로 더 들어가야 할 공적자금의 규모와 그 사용처, 그리고 지금까지의 공적자금 투입 효과 등에 있고 그 조성 방법에 대한 관심은 부차적이다.
17일자 머리기사도 결국은 경제팀의 불협화음을 센세이셔널하게 확대경으로 비춘 것에 지나지 않는다.공적자금과 관련한 이슈는 수요 예측과 효과 평가에 관한 경제적인 이슈와 조성 및 사용에 대한 투명성 등 비경제적인 이슈가 있는데 오히려 경제적인 이슈들이 독자들에게는 더 궁금한 사안일 것이다.
16일자 인니발 아시아 경제위기 재발기사는 제2위기설이 표면화되는 시점에서 동남아의 외환 및 경제위기는 피안의 불구경이 될 수 없고 따라서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통화가치와 주가 추이 비교를 통해서 동남아 위기의 가능성을 분석한 것이 독자들의 관심과 이해를 돕고 있으며 한국 상황을 재조명한 분석도 돋보였다.18일자 1면, 3면, 7면에 걸쳐 게재한 "위기 증후군"에 대한 기사도 인상적이었다.
정부가 위기징후 타개를 위한 뚜렷한 정책비전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과 "위기 증후군"과 관련해 여러 측면에서 원인과 처방,대책까지 내놓아 심층분석의 전형을 보여 줬다.
민간연구소와 학계 전문가들은 2차 금융구조조정 등 경제현안 해결이 지체될 경우 실물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최근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은 지난 97년9~11월에 일어났던 상황과 비슷한 점이 많다.
흔들리고 있는 리더십이 확립돼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내놓지 못하면 또다시 "IMF 위기"에 빠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날 기사는 이런 위기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사전 경고음으로 시의적절했다고 본다.
19일과 20일 기사는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증시와 그에 따른 정부 대책 기사가 비중 있게 다뤄졌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미국의 금리인상을 계기로 한국의 저금리정책에 대한 심층분석이 이뤄졌어야 한다는 점이다.
"IMF 위기" 이후 1차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후 정부의 저금리정책이 지나치게 비탄력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업구조조정을 위해 저금리정책은 불가피한 것이었지만 시장기능을 지나치게 무시할 경우 개인대출의 증가와 일부 계층의 과소비 등 도덕적 해이를 양산할 수 있다.
또 금융기관의 수익구조를 악화시켜 금융위기의 한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지나치게 시장기능이 무시된 정부의 저금리정책이 타당한 것인지 여부를 전문가들의 시각을 통해 짚어야 했다.
지난 17일자 SK(주) 최태원 회장의 KAIST 강연에 관한 기사를 다루면서 "위기대응에는 오너체제가 유리"라고 제목 처리한 점은 아쉽다.
이날 최 회장의 발언은 그가 재벌 오너이면서도 "반재벌-친벤처" 발언을 해 화제가 된 것이다.
발언의 취지는 벤처 기업인에 대한 칭찬과 함께 재벌 소멸론에 대한 그의 생각을 비교적 솔직하게 털어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너십이 위기에 처했을 때 전문경영인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강조한 것은 CEO의 트레이닝 과정 부족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었다.이렇게 볼 때 "위기대응에는 오너체제가 유리"라는 제목은 이날 강연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kb-kim@ mastercar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