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계 '맑음'...섬유.건설 '흐림'..4분기 업종별 경기전망

오는 4·4분기에는 전자 일반기계 등의 업종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으나 섬유 철강 조선 정유 건설 등은 성장세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올해 연간으로는 모든 업종이 생산·내수·수출 면에서 전년에 비해 플러스 성장을 할 것으로 추정됐다.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업종별 단체 관계자회의를 개최해 분석한 결과 오는 4·4분기에는 고유가와 원화절상 등 대외여건 악화와 소비·투자심리 위축으로 인한 경기동향 불확실로 인해 업종별로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분석됐다고 18일 발표했다.

부문별로 보면 내수의 경우 일반기계(24.9%)와 전자(12.3%)업종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두자릿수가 넘는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섬유(3.8% 감소) 정유(4.7% 증가) 건설(0.2% 증가)업종은 원자재가격 상승과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수출은 자동차(31.4%) 전자(22.9%) 일반기계(22.3%) 반도체(19.1%)업종은 높은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인 반면 유가 인상에 따른 원자재 비용부담 증가,통상압력 가중 및 원화가치 상승 등으로 대외여건이 크게 불리한 섬유(1.6%) 정유(2.4%) 철강(2.6% 감소)업종은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거나 감소할 것으로 점쳐졌다.

생산의 경우 전자(23.7%) 일반기계(18.1%) 반도체(24.0%) 업종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높은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유가 인상과 통상압력 가중 등으로 섬유(1.8%) 정유(2.3%) 등의 4·4분기 생산증가율은 한자릿수에 그쳐 업종간의 경기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대한상의 엄기웅 상무는 "고유가의 장기화 추세,원화절상 및 시중자금 경색 등 대내외 여건이 크게 악화되고 있어 섬유 건설 등 취약업종의 경우 흑자 도산이 우려된다"면서 "연료세율의 한시적인 인하 등 고유가 대책과 적정환율 방어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