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정책대로 했더니 법정관리...'
입력
수정
"정부정책을 믿고 따른게 후회됩니다. 더군다나 주거래 은행이 기업경영을 전혀 고려하지않고 그렇게까지 자금을 뽑아갈 줄은 몰랐습니다"
지난 29일 법정관리를 신청한 조양상선 기획실 관계자는 말없이 정부와 은행을 믿고 따랐던 자신들의 "순진함"을 자책했다. "우리는 할만큼 다했습니다. 제일생명도 팔고 배도 팔아 빚을 상환했지만 은행이 무차별적으로 자금을 회수하는데야 견딜 재간이 있겠습니까"
정부 방침에 따라 업종전문화와 구조조정을 성실히 이행했지만 그게 되레 발목을 잡아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물론 조양상선은 자사의 책임도 인정한다. 91년부터 98년까지 세계일주항로 개설을 위해 수천억원의 자금을 쏟아부은게 화근이 됐다.
투자비 회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회사가 기울기 시작했다.
실패를 확인만 조양은 이후 과감한 구조조정에 나섰다. 98년부터 지금까지 제일생명을 매각하는등 총 7천억원이상의 자구를 했다.
보유자산의 70% 이상을 내다 팔았다.
"99년 제일생명을 매각할 때는 사내에서도 조양상선을 매각하는게 오히려 사는 길이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모기업인 조양상선을 살리는게 정부 업종전문화 방침에도 맞는다는 판단에 따라 제일생명을 알리안츠에 넘겼습니다" 경영실적도 괜찮았다.
대형 선사들이 부진을 면치못한 지난해 영업이익 1백44억원에 40억원의 순익을 냈다.
더군다나 지난해 11월 금융권은 2차 부실기업 판정때 조양에 대한 회생판정을 내렸던 터라 채권단의 지원이 따를 것으로 기대하기도 했다.
주채권은행인 서울은행은 그러나 무차별적으로 자금을 회수했다.
"구조조정하고 영업해선 번돈은 모두 은행이 회수해갔습니다. 우리회사야 죽든말든 자신들만 살면된다는 식이지요"
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해야하는 상황으로까지 몰린 것은 1차적으로 경영진의 책임이다. 그러나 은행이 살기위해서 회생가능한 기업까지 "제물"로 삼는다면 과연 살아남을 수있는 기업이 얼마나될까.
김용준 산업부 기자 junyk@hankyung.com
지난 29일 법정관리를 신청한 조양상선 기획실 관계자는 말없이 정부와 은행을 믿고 따랐던 자신들의 "순진함"을 자책했다. "우리는 할만큼 다했습니다. 제일생명도 팔고 배도 팔아 빚을 상환했지만 은행이 무차별적으로 자금을 회수하는데야 견딜 재간이 있겠습니까"
정부 방침에 따라 업종전문화와 구조조정을 성실히 이행했지만 그게 되레 발목을 잡아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물론 조양상선은 자사의 책임도 인정한다. 91년부터 98년까지 세계일주항로 개설을 위해 수천억원의 자금을 쏟아부은게 화근이 됐다.
투자비 회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회사가 기울기 시작했다.
실패를 확인만 조양은 이후 과감한 구조조정에 나섰다. 98년부터 지금까지 제일생명을 매각하는등 총 7천억원이상의 자구를 했다.
보유자산의 70% 이상을 내다 팔았다.
"99년 제일생명을 매각할 때는 사내에서도 조양상선을 매각하는게 오히려 사는 길이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모기업인 조양상선을 살리는게 정부 업종전문화 방침에도 맞는다는 판단에 따라 제일생명을 알리안츠에 넘겼습니다" 경영실적도 괜찮았다.
대형 선사들이 부진을 면치못한 지난해 영업이익 1백44억원에 40억원의 순익을 냈다.
더군다나 지난해 11월 금융권은 2차 부실기업 판정때 조양에 대한 회생판정을 내렸던 터라 채권단의 지원이 따를 것으로 기대하기도 했다.
주채권은행인 서울은행은 그러나 무차별적으로 자금을 회수했다.
"구조조정하고 영업해선 번돈은 모두 은행이 회수해갔습니다. 우리회사야 죽든말든 자신들만 살면된다는 식이지요"
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해야하는 상황으로까지 몰린 것은 1차적으로 경영진의 책임이다. 그러나 은행이 살기위해서 회생가능한 기업까지 "제물"로 삼는다면 과연 살아남을 수있는 기업이 얼마나될까.
김용준 산업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