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科技人육성 몇가지 과제 .. 朴聖炫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

미래사회는 전문지식을 요하는 고도의 정보화 지식사회가 될 것이며, 과학기술이 사회 변혁을 주도할 것이라고 미래학자들은 예견하고 있다. 미국의 RAND 보고서는 "2015년까지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극미세기술(NT) 등의 첨단과학기술을 융합하면서 과학기술혁명이 지속, 전세계적으로 사회의 대변혁이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우리나라가 정보화·지식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가장 시급히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무엇보다도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 인적자원의 육성이다. 한 기업의 운명이 연구개발 역량에 따라 좌우되는 것처럼, 한 국가의 미래도 과학기술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고도 지식사회에서는 과학기술 지식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 확실하다. 그러면 우리나라는 사회의 대변혁을 준비하고 있는가? 개선 및 추진해야 할 몇가지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자의 사회·경제·정치적 위상이 낮다는 점과, 과학기술이 경시되는 풍조가 만연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중 과학기술계 사람의 비중은 국회의원의 8%, 3급 이상 공무원의 16%, 상장회사 대표이사의 26%에 불과하다. 중국의 고위급 정치지도자중 상당수가 과학기술계인 점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더욱 걱정스러운 것은 대입 응시생중 자연계 학생비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95년에 43%이던 것이 올해에는 27%로 줄었다. 반면 인문계와 예체능계는 각각 7%.8%씩 증가했다. 여기에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은 기초과학 전공자가 점점 줄고 있다는 점이다. 기초과학을 맡고 있는 서울대 자연대의 경우 석사경쟁률은 97년 2.2대 1이었으나 올해에는 1.0대 1로 크게 낮아졌다. 이는 결국 과학기술이 주도하는 미래 지식사회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현상은 비단 서울대 만이 아니라 모든 대학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더 늦기 전에 과학기술인들이 긍지를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효율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몇개의 대학을 선정해서 집중투자를 해야 한다. 과학의 저변확대를 위해 모든 대학의 과학교육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나, 급변하는 국제사회에서 선두경쟁에 나서기 위해선 소수 대학을 선택해 집중 지원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기초과학 수준이 낮고 원천핵심기술에서 뒤져 있다. 그런만큼, 예를 들어 서울대는 기초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기초학문중심 연구대학으로, 한국과학기술원은 응용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중심 연구대학으로 집중 육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도쿄대 교토대 등 13개 대학을 핵심 기간대학으로 지정해 정부가 집중지원하고 있는 것을 참고할 만하다. 셋째, 대학도 급변하는 사회환경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새로운 과학기술분야의 교육과 연구가 수월하도록 대학의 학사운영 및 조직의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오래 전부터 고착된 단과대학 간의 벽을 그대로 고수하면서 BT, IT, NT 등의 연구를 효율적으로 다루기는 어렵다. 대학이 변화에 적응하는 개혁성향을 가져야 한다. 넷째, 기업에서 하기 힘든 기초과학분야의 연구는 정부에서 주도해야 한다. 대학을 지원하는 것 외에도 각 학문별로 연구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기초과학 관련 국립연구소의 설립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수학연구소나 통계연구소 등을 설립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선진국은 물론 일본 대만 중국 등 우리의 주변국가들도 모두 기초과학관련 국립연구소를 갖고 있다. 결국 기초과학 육성은 정부의 몫이다. 과학은 국가 최고의 자원이며 발전의 원동력이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도 지금 과학에 적극 투자할 때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과학기술부가 자연사박물관을 포함한 서울과학관을 건립할 계획을 갖고 있고, 또 내년도 정부의 연구개발비 증가율이 15.8%로 정부예산 증가율(5.9%)보다 훨씬 높다는 점이다. 우리 국민 모두 과학 마인드를 높여 지식기반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할 때다. parksh@plaza.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