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여성헌법재판관
입력
수정
국내 여성 법조인 1호인 이태영 변호사는 1952년 사법고시에 합격했는데도 판·검사 임용이 되지 않았다.
"여자가 어디 감히 판·검사라고…"하는 멸시가 짙게 깔려있었고 게다가 남편(정일형 박사)이 야당 정치인이어서 정치적인 입김도 작용했던 것 같다.
그후 금남(禁男)의 벽을 뚫고 재조(在曹)에 처음 입문한 여성은 54년 황윤석 판사였다.
검사직으로의 진출은 이보다 훨씬 늦어져 82년에야 비로소 여검사가 탄생했다.
여성 고급 두뇌들이 몰려드는 법조계 상황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예전과는 완전히 달라졌다.
사법고시 여성 합격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 지난해의 경우 2백39명으로 그 비율도 20%를 훌쩍 넘어섰다.
여성들의 성적 또한 뛰어나 올해 판사로 임용된 1백10명 중 절반에 가까운 54명이 여성이었다.
임용판사라 해도 성적순에 따라 근무지가 정해지는데 상위권이 몰리는 서울지법에는 34명 중 무려 24명이 여성이어서 법조계의 변화를 실감케 했다.
법조계에서의 여성파워는 이제 새삼스러운 얘기가 아니다.
판·검사 변호사 등 여성 법조인은 7백여명에 이르고 주요 로펌들의 스카우트 대상이 되고 있기도 하다.
담당하는 업무영역도 종전에는 이혼이나 양육 등 가사사건이 주였으나 이제는 금융 증권 조세 기업인수·합병(M&A) 지식재산권 등 전문적이고 굵직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사회의 어느 분야보다도 여성 진출이 가장 돋보이고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대법관 제청 파동 속에서,대법원이 엊그제 전효숙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여성 첫 헌법재판관에 임명한 것은 이래저래 눈길을 끈다. 선배기수를 제치고 다소 빠르게 진출했다는 점이 보수적인 법조계에서는 다소 의외일 수 있겠으나,여성의 권익보호라는 측면에서는 충분히 고려할만한 일이다.
수없이 발생하는 여성 관련 문제들을 남성의 시각보다는 여성이 더욱 잘 알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와 함께 최고의 사법기관인 대법원도 당장은 어렵겠지만 머지않은 장래에 여성 대법관을 임명해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양성(兩性)평등의 가치를 실현하는 전기를 마련했으면 하는 기대를 해본다.
박영배 논설위원 young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