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일자) 심상치 않은 물가 오름세
입력
수정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김진표 경제부총리와 박승 한은 총재가 6일 "올해 물가는 당초 목표선인 3% 내외에서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현실은 그렇게 낙관적이지 못하다.
두부 콩나물 등 생필품에서 철근 등 공업용 원자재까지 가격이 급격히 오르고 있고,일부에서는 사재기 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
원자재를 구하지 못해 가동을 중단하는 공장도 속출하고 있을 정도다.
최근 물가상승은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원자재가격 급등 등 해외부문이 주요 원인인 만큼 쉽게 가라앉을 것 같지는 않다.
앨런 그린스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이 금리인상을 시사하고,영국이 실제 금리를 올리는 등 지난 4년간 지속됐던 국제적인 초저금리시대가 마감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광우병 조류독감 파동이 농축산물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는데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서비스가격마저 들먹이고 있다.
우리 경제가 최근 몇년간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이정도라도 버틸수 있었던 것은 그마나 물가가 안정됐기 때문이라고 본다.
만약 경기침체가 계속 이어지면서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 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경제 회생은 더이상 바라기 힘들어 진다.
개인 신용불량 등으로 인한 가계부실은 물론 원가부담으로 인한 기업들의 투자위축도 불을 보듯 뻔하다.
정부는 이제라도 안이한 현실 인식을 버리고 물가안정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환율과 통화정책 등 거시정책을 운용하는데 있어 물가안정을 가장 우선해야 한다.
수출이 유일하게 경기를 견인하는 상황에서 고환율정책의 필요성을 탓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나친 시장 개입으로 인한 인위적인 원화 약세는 수입물가를 필요이상으로 올리는 요인이 된다.
환율개입과정에서 발생하는 통화증발 역시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한다.
내수 침체 지속으로 금리인상이 쉽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물가안정을 우선시하는 환율정책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고 본다.